치아 교모증은 오랫동안 치아를 사용하여 치아 씹는 면의 굴곡이 닳아 평평해지는 현상으로 자연스러운 노화 과정의 일환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외부적인 원인이나 습관 때문에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앞니는 치아의 끝부분, 어금니는 서로 마주 닿는 돌기 부분부터 닳게 되는데, 닳는 정도는 음식의 단단한 정도와 씹는 힘, 치아교합 상태, 치아 형태 등에 따라 다르며 빠른 경우에는 30대에도 나타나지만 대부분 40대 이후에 증세가 나타납니다.교모증의 증상으로는 찬 것과 뜨거운 것에 민감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이 증세는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자각 증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교모증의 진행이 깊어지면 치아의 씹는 면이 닳아지면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고, 닳아진 치아의 씹는 면 끝이 날카로워지고, 날카로운 부분이 깨져나가기도 합니다.
40대 이후 내원하시는 환자분들 중 대부분이 “음식물이 자꾸 끼어요”, “치아가 자꾸 깨져요”, “이가 닳어져서 날카로워요”입니다.표현은 달라도 모두 교모증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교모증 초기에는 닳아진 부위를 충전하여 닳아진 치아면을 보호해 줄 수 있지만, 교모가 어느 정도 진행이 된 경우에는 관을 씌우는 크라운 보철치료가 필요하며, 심하게 진행된 경우에는 근관 치료 후에 관을 씌우는 보철치료를 시행합니다.치아 교모증의 경우 특정 치아에만 발생하기보다는 구강 내 전체 치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교모가 심하게 진행된 경우 구강 내 잔존 치아의 전악 보철치료를 시행합니다.
전악 보철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치아 교모증,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마모 성분이 적은 치약 사용하기, 탄산음료를 선호하시는 경우 빨대를 사용하기, 질기고 딱딱한 음식 씹는 횟수 줄이기, 이를 가는 습관을 가지신 분들은 치아를 보호해 주는 장치 장착하기 등이 있습니다.
질기고 딱딱한 음식의 경우 이가 맞물리고 갈리면서 음식물이 분쇄되기 때문에 치아 교모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탄산에 들어 있는 산은 치아 표면의 바깥층인 에나멜 층을 녹이는 효과가 있어서 교모증의 원인 될 수 있습니다. 마모 성분이 많이 들어있는 치약도 치아 교모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생활 습관을 바꿔 건강한 치아를 오래 사용하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