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필국기자]유리섬유복합재료(GFRP) 전문업체인 삼우기업(주)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 사업의 ‘건설용 친환경 열경화성․열가소성 인발 성형 구조재 (보강근, 형강) 및 이를 활용한 구조물 적용 기술개발’의 총괄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본 연구과제는 총괄기관인 삼우기업(주) 외 한국도로공사, 한국석유공업(주), ㈜신성소재, ㈜티포엘, DYETEC연구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FITI시험연구원, KATRI시험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 부산테크노파크, 한국첨단제조기술연구원 등 총 25개 기관이 참여한다. 연구개발기간은 지난 8월 1일부터 시작돼 3년 5개월 간 진행된다. 최근 건설업계에서는 글로벌 시장을 시작으로 국내 메이저 건설사들은 탄소 감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적용에 나서는 가운데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존의 철근 대비 35% 수준의 탄소배출량을 가진 GFRP(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기반 건설 구조재의 개발은 현재 요구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철근, 형강대비 GFRP 구조재가 가지는 내부식성, 내화학성, 낮은 선팽창율, 높은 비강도 특성으로 인하여 부식 및 열화 팽창에 따른 교체비용을 줄이고 1/4 수준으로 중량을 감소시켜 현장 안전성 및 작업편의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본다. 한편, 본 연구과제 세부주관기관인 한국도로공사에서도 지난해부터 친환경 GFRP 건설 자재의 도로 건설에 활용할 방안을 마련하였다. 공사는 교량 바닥판, 방호벽 등의 시험 시공 및 안전성 검증을 진행했으며 지난 1월 GFRP를 활용한 교량설계기준이 제정됐다. 더불어 대산-당진 고속도로 등 여섯 개 노선에 GFRP를 적용했으며 추후 계양-강화 고속도로에도 GFRP를 적용할 계획이다. 따라서 국내 건설 산업 동향에 따라, 본 연구과제에서 유리섬유기반 친환경 GFRP 건설 구조재 개발과 수요산업 실증을 통해 현재 건설업계에서 요구하는 탄소중립 트렌드에 부합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글로벌 신시장 진출을 통한 국내․외 시장점유율 향상 및 매출 증대가 기대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