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관련해 대구와 경북지역의 온도차가 너무 크다. 대구는 넓은 시장과 공항·항만, 수자원 등 사회간접자본을 넉넉히 확보할 수 있어 기대감이 넘치는 반면, 경북은 자본과 인력 모든 좋은 것들이 대구로 빠져나가는 등 ‘공동화 현상’ 심화로 지금보다 더 팍팍한 삶을 살아야 할 것 같은 위기감은 물론 두려움까지 느끼고 있다. 현재 대구와 경북 시민·사회단체들에서 나타나는 반응들을 살펴봐도 잘 알 수 있다. 대구의 경우, 경제인들은 물론 학계, 시민단체, 노동단체, 노인회까지 연일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환영한다는 메시지를 내놓으며 장밋빛 기대감에 부풀어 올라 있다. 이에 반해 경북은 도내 어느 지자체·지역사회·분야에서도 행정통합을 환영한다는 메시지를 찾아 볼 수 없다. 도리어 행정통합 반대 성명이 난무하고 연일 반대 집회만이 개최될 뿐이다. 대구시와 경북도가 2026년 7월 1일이란 완료기한을 못 박은 것에서도 논란과 반발이 증폭, 알지도 못하는 통합 절대 반대한다는 목소리만 높아질 뿐이다. 최근 경북도가 행정통합 관련 이해를 돕겠다고 권역별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지만, 지역민의 참가율이 저조함은 물론 이를 반대하는 이들의 성토장으로 전락할 뿐이다. 행정통합 절차를 거치려면 선관위 관리하에 지역민의 투표나 지역민들이 선출한 도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현재 분위기라면 그 어떤 방법으로 동의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경북 도민이 반대하는 것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장점이 없어서가 아니라 단점으로 인해 생겨날 피해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이철우 지사도 나서 “어느 지역도 손해보지 않는 통합을 하겠다”고 말한 것도 도민들이 느끼는 위기감이 적지 않음을 반영한 말이라고 봐야한다. 지방자치는 지역의 실정에 적합한 정책을 펼쳐 지역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취지에서 나온 정책이다. 지역민도 모르고 지역에 위기감을 초래할지도 모르는 정책은 권광택 경북도의회 행정보건복지위원장이 지적하듯 “도민의 미래를 건 도박”이 될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닌 방향’이란 말이 있듯 속도보다 도민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선행돼야 하지 않을까. 절대 다수의 지역민이 거부하는 지방자치도 지방자치라고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