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내년부터는 시도가 대학과 협력해 지역 발전전략과 지역 대학의 특성을 고려해 지역에 맞는 대학 지원 계획을 수립해 추진한다.교육부는 15일 광주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공청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담은 `라이즈 지원 전략(시안)`을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한다고 13일 밝혔다.내년 전국 17개 모든 시도에 도입되는 라이즈는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를 뜻한다. 교육부가 가진 대학 재정 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고, 지자체가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해 대학을 지원한다.시안에는 라이즈 추진체계와 계획 수립, 사업 운영 방식, 성과관리 체계 등 지역에서 라이즈 추진에 필요한 구체적인 사항을 담았다.시안에 따르면, 17개 시도는 지자체장과 지역 대학 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지역라이즈위원회`를 구성해 지자체 단위로 차별화된 기본계획을 수립한다.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면 다른 지역 대학·기업·혁신기관 등과 자유롭게 연계하는 `초광역 과제`를 수립하는 것도 가능하다.`인재양성-취·창업-정주 생태계` 구축을 위해 라이즈를 플랫폼으로, 교육부를 포함한 범부처·지자체의 다양한 정책적 수단을 연계한다.   성과관리도 지역이 자율적으로 수립한다. 매년 자체평가를 실시해 목표 달성도를 자체 점검한다. 교육부는 지역별 라이즈 성과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공통지표를 제시하고 중간·종합평가를 실시한다.교육부가 제시한 핵심성과지표는 △지역 정주 취업률 증가율 △지산학연 협업 실적 증가율 △성인학습자 고등교육 실적 증가율 △지역혁신체계 만족도 증가율 △대학의 지역 경제력 영향력 △지역별 대표 과제의 성과목표 달성률 등 6가지다.교육부는 공청회에서 지자체, 대학, 일반 국민의 의견을 수렴한 후 라이즈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12월 중 `라이즈 지원 전략`을 확정·발표한다. 공청회는 유튜브 `경북대 라이즈 연구센터 채널`로도 생중계한다.윤소영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관은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지역혁신이 이뤄져야 한다"며 "지역-대학 간 수평·협력적 관계를 바탕으로 라이즈 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라이즈가 본격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교육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