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세명기자]의성군은 지난달 29일 의성조문국박물관 강당에서 내‧외빈 등 1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장한상의 생애와 업적을 재조명하기 위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날 학술대회는 조선시대 의성 비안현 출신인 장한상(1656~1724)이 숙종 20년 삼척영장 겸 울릉도 수토관재직시 울릉도 지역 조사등 업적 재조명에 목적이 있다.또한, 장한상은 울릉도사적저술, 최초 독도를 본 내용을 기록한 업적, 조선통신사참여, 백두산 정계조사 참여, 도적소탕 등 새로운 업적을 밝혀내기 위해 마련됐다.학술대회 첫 번째 발표인 고민정 교수는 장한상 가계(家系)와 관력(官歷), 전라병사 재직때 흉년으로 고통 받던 백성들을 구휼하고 도적들 소탕을 새롭게 밝혔다.두 번째 발표자 송휘영 교수는 장한상의 임술 통신사행참여 연구에서 통신사로 훈련부정 좌막으로 일본에서 왜인들을 떨게했다는 기록도 사료에서 찾았다고 했다. 세 번째 발표자인 서인원 이사는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와 독도에 끼친 함의 연구 발표를 통해 조선은 1694년 삼척첨사로 임명하여 울릉도 수토를 이뤘다고 했다.그는 또, 1900년 10월 25일(독도의 날)에는 고종의 칙령으로 울릉도 및 독도가 조선의 고유영토라는 선포 는 독도를 지키기 위한 굳은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마지막 발표로 이원택 박사는 장한상의 북한산성 축조 및 백두산 정계 조사 참여 연구 발표를 통해 울릉도와 독도 수토 등 실록의 기록을 직접 인용해 설명했다.이밖에 종합토론을 통해 김영수 교수(영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좌장으로 발표자(4명),지정토론자(4명) 의 토론은 물론 학술대회에 참가한 방청객의 질문도 있었다. 김주수 군수는 "장한상 관련 고문서는 현재 경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지만 보다 더 높은 문화유산적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랬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