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주철우기자]울진 신한울 원전 등 동해안 일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공급하기 위해 추진 중인 국책사업 `전기 고속도로`가 서울 문턱에서 막힐 위기에 놓였다.
수도권까지 200㎞ 이상 이어지는 동해안-수도권 초고압 직류송전(HVDC) 송전선로가 끝나는 길목에 있는 경기도 하남시가 한국전력의 동서울변전소 증설을 불허했기 때문이다.25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하남시는 지난 21일 지역 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한전이 신청한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 사업안을 불허 처분했다고 밝혔다.한전은 약 7천억원을 들여 2026년 6월까지 기존의 변전 시설을 옥내화해 확보한 여유 부지에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를 통해 들어올 추가 전기를 받아 수도권 일대에 공급하기 위한 HVDC 변환소를 건설할 계획이었다.초고압 송전망의 끝에 위치한 HVDC 변환소가 없으면 2026년 6월 준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는 사실상 무용지물이다. 막대한 재원을 들여 전기 고속도로를 만들었는데, 정작 톨게이트에 차단봉이 내려진 셈이다.발전소에서 만든 교류 전기는 발전소 근처 변환소에서 500kV(킬로볼트)의 초고압 직류로 바뀌어 200㎞ 이상 길이의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를 타고 주 소비처인 수도권으로 이동한다. 이후 소비처 인근의 최종 변환소에서 다시 초고압 직류 전기를 배전망에 흘려보낼 수 있는 교류 전기로 바꿔줘야 한다.정부와 한전은 수도권 전력공급을 대폭 확대하기 위해 2026년 6월까지 동서 방향의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를, 2036년까지 남북 방향의 서해안 송전선로를 첨단 HVDC 방식으로 설치할 계획이다.경북 울진에서 시작된 선로는 경기 양평까지 200㎞ 넘게 이어져 다시 두 갈래로 나뉘어 신가평변환소와 동서울변환소를 각각 걸쳐 수도권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설계됐다.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의 용량은 총 8GW(기가와트)로 이미 착공돼 건설 중인 신가평변환소로 4GW가, 동서울변환소로 4GW의 전기가 공급될 예정이었다. 그런데 동서울변환소 건설이 불가능해지면 당초 계획의 절반인 4GW의 전기만 옮기게 된다. 즉 4GW의 발전력이 감소한 셈으로, 이는 설비용량 1.4GW인 최신 원전 3기가 만드는 전기를 보낼 수 없는 것과 같다.올해 동해안 지역의 발전 용량은 총 17.9GW인데, 송전 가능량은 10.5GW에 불과하다. 따라서 지금도 일부 발전소들은 설비를 놀리고 있다. 따라서 목표한 2026년까지 8GW 규모의 동서 방향 `전기 고속도로`가 가동되지 못하면 2030년 이후 울진에 건설될 신규 원전인 신한울 3·4호기의 전력망 연계도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가 들어서는 수도권에 전력 공급망이 끊기면 `전력대란`도 우려된다.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만 현재 수도권 전체 전력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0GW의 전력 수요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