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보육지원 정책에도 출생아 수가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 및 4월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3월 출생아는 3만8천8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천400명(-10.2%) 줄었다. 2011년 10월(5천300명 감소·-12.1%) 이후 가장 낙폭이 컸다. 월간 신생아는 작년 5월부터 증가세를 이어가다 올해 들어 감소로 돌아섰다. 1월(-0.4%), 2월(-9.1%), 3월(-10.2%) 등으로 감소폭을 키웠다. 이에 따라 1분기 출생아 수는 12만500명으로 전년보다 8천300명(-6.4%) 줄었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작년 5월부터 혼인건수가 감소했고 주된 출산연령(29~33세) 인구도 계속 빠졌다"며 "이렇게 가다보면 합계출산율 1.3명 이하의 초(超)저출산국가가 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출생의 선행지표가 되는 혼인 건수는 3월 2만3천600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천500건(-16.0%) 급감했다. 혼인 적령기의 남성(30~34세), 여성(27~31세)이 감소한 인구효과가 작용했다. 베트남신부 사망을 계기로 정부가 `국제결혼 건전화 조치`를 시행하며 다문화 결혼 건수(2천177건)가 지난해 3월보다 20.8% 급감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2012년 흑룡해에 일시적으로 혼인이 몰렸던 기저효과도 있다. 아울러 이혼 건수는 8천500건으로 1년 전보다 1천건(-10.5%) 줄었고, 사망자 수는 2만4천200명으로 100명(0.4%) 증가했다. 한편, 4월 국내 이동자 수는 62만9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천명(-0.2%) 줄었다. 지난달 시도 안에서 이동한 인구는 42만9천명으로 작년과 같았고 시도 간 이동자 수는 20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7%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인 인구이동률은 1.25%로 지난해 4월에 견줘 0.01%포인트 낮아졌다. 시도별로 보면 순이동(전입-전출)은 경기 5천492명, 인천 2천197명, 충남 1천482명 등 8개 시도가 순유입을 기록했다. 서울(-1만5명)과 부산(-945명), 대구(-323명) 등 9개 시도는 인구가 순유출됐다. 이재원 과장은 "4·1 부동산대책 이후 4월 주택매매거래는 전년보다 17.5% 늘었고 전월세거래도 5.4% 증가해 인구이동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다만, 20대 후반의 취업이 부진한 점이 인구이동을 감소시켰다"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상매일신문

아기 울음소리 석달째 감소…결혼 줄어든 탓..
뉴스

아기 울음소리 석달째 감소…결혼 줄어든 탓

연합 기자 입력 2013/05/27 20:25
20대 취업난에 인구이동도 제자리걸음

정부의 보육지원 정책에도 출생아 수가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 및 4월 국내인구이동 통계'를 보면 3월 출생아는 3만8천8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천400명(-10.2%) 줄었다. 2011년 10월(5천300명 감소·-12.1%) 이후 가장 낙폭이 컸다.
월간 신생아는 작년 5월부터 증가세를 이어가다 올해 들어 감소로 돌아섰다. 1월(-0.4%), 2월(-9.1%), 3월(-10.2%) 등으로 감소폭을 키웠다. 이에 따라 1분기 출생아 수는 12만500명으로 전년보다 8천300명(-6.4%) 줄었다.
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작년 5월부터 혼인건수가 감소했고 주된 출산연령(29~33세) 인구도 계속 빠졌다"며 "이렇게 가다보면 합계출산율 1.3명 이하의 초(超)저출산국가가 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출생의 선행지표가 되는 혼인 건수는 3월 2만3천600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천500건(-16.0%) 급감했다.
혼인 적령기의 남성(30~34세), 여성(27~31세)이 감소한 인구효과가 작용했다.
베트남신부 사망을 계기로 정부가 '국제결혼 건전화 조치'를 시행하며 다문화 결혼 건수(2천177건)가 지난해 3월보다 20.8% 급감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2012년 흑룡해에 일시적으로 혼인이 몰렸던 기저효과도 있다.
아울러 이혼 건수는 8천500건으로 1년 전보다 1천건(-10.5%) 줄었고, 사망자 수는 2만4천200명으로 100명(0.4%) 증가했다.
한편, 4월 국내 이동자 수는 62만9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천명(-0.2%) 줄었다.
지난달 시도 안에서 이동한 인구는 42만9천명으로 작년과 같았고 시도 간 이동자 수는 20만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7%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인 인구이동률은 1.25%로 지난해 4월에 견줘 0.01%포인트 낮아졌다.
시도별로 보면 순이동(전입-전출)은 경기 5천492명, 인천 2천197명, 충남 1천482명 등 8개 시도가 순유입을 기록했다. 서울(-1만5명)과 부산(-945명), 대구(-323명) 등 9개 시도는 인구가 순유출됐다.
이재원 과장은 "4·1 부동산대책 이후 4월 주택매매거래는 전년보다 17.5% 늘었고 전월세거래도 5.4% 증가해 인구이동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다만, 20대 후반의 취업이 부진한 점이 인구이동을 감소시켰다"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150자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비밀번호를 8자 이상 20자 이하로 입력하시고, 영문 문자와 숫자를 포함해야 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