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일도 직장도 없는 그냥 노는 청년이 9개월 만에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정부가 발표한 `쉬는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 대책에도 `그냥 쉬는` 청년은 줄지 않고 여전히 40만명 선을 맴돌고 있다.취업을 희망하지만, 원하는 일자리를 못 찾을 것 같아 취업을 접은 `구직 단념` 청년도 올해 들어 다시 증가세다.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등에 따르면 지난 달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층(15∼29세)은 1년 전보다 1만3천명 늘어난 39만8천명으로 집계됐다.`쉬었음`은 취업자·실업자가 아닌 비경제활동인구 중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이다. 지난 달 `쉬었음` 청년은 5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2020년(46만2천명)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전체 청년인구에서 `쉬었음` 청년이 차지하는 비중도 1년 만에 4.6%에서 4.9%로 껑충 뛰었다. 청년 인구가 줄었음에도 `그냥 쉰` 청년은 늘어난 탓이다. `쉬었음` 청년은 지난해 9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감소 폭은 올해 3월부터 축소되는 흐름이 뚜렷했다.`쉬었음` 청년 감소 폭은 올해 1월 5만6천명을 정점으로 3월 5천명, 4월 1만4천명으로 쪼그라들었고 지난 달 `증가`로 돌아섰다.지난해 줄어든 `구직 단념` 청년이 올해 다시 증가세인 점은 이런 현실과 맥이 닿아있다.구직단념자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을 원하고 취업할 수 있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구직 경험자들이다.올해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0만8천525명)보다 약 1만1천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38만7천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다.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5월 기준으로 2022년 13만6천808명을 기록한 뒤 지난해 약 3만명 줄었지만 올해 다시 늘어났다.정부 대책에도 최근 쉬었음·구직단념 청년이 증가하는 데에는 코로나 엔데믹 이후 고용 개선에 대한 기저효과, 지난 달 조사 기간에 휴일이 포함된 점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측 설명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