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당대표 출마 선언이 임박하자 친윤(친윤석열계)과 친한(친한동훈계), 비윤(비윤석열계)의 신경전이 격화되고 있다. 당내 권력지형을 둘러싼 셈법이 복잡해지면서 계파 분화 양상이 도드라지는 형국이다.
뚜렷한 당권주자가 안 보이는 친윤계는 한 전 위원장이 내세운 의제들을 깎아내리는 공세에 집중하고 있다. 지지율이 뒤처지는 비윤계는 `원외 당대표 한계론`과 총선 책임론으로 한 전 위원장을 비판한다. 친한계는 거센 견제구에 맞서 한 전 위원장 엄호에 뛰어들었다.1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전당대회 후보 등록일은 오는 23~24일로 가닥이 잡혔다. 이에 따라 당 안팎에선 한 전 위원장의 출마 선언이 다음 주중 이뤄질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전당대회 룰과 지도체제 등이 결정되고 한 전 위원장이 물밑에서 원내외 인사를 잇따라 접촉 중이란 소식이 전해지자 친윤계는 본격적으로 견제의 메시지를 내기 시작했다.친윤계는 한 전 위원장이 화두를 던진 지구당 부활과 `이·조(이재명·조국) 심판` 등이 민생과는 거리가 먼 `여의도 정치`라고 지적했다. 여의도 정치를 끝내겠다며 정치를 시작한 한 전 위원장이 결국 여의도 정치를 답습하고 있다는 비판이다.친윤 5선 김기현 전 대표는 지난 13일 "이미 지난 총선에서 ‘이조(이재명·조국)심판’으로 패배했음에도 또다시 `이조심판`이라는 논쟁에 매몰되어서는 안 된다"며 "지구당 부활’ 같은 정치권의 밥그릇 챙기기 이슈가 아니라, 저출생과 연금, 고물가와 고금리, 주택가격과 주식 등 국민의 먹고사는 민생문제를 해결하는 일에 당력을 모아야 한다"고 한 전 위원장을 직격했다.또 다른 친윤계 장예찬 전 청년최고위원도 14일 지구당 부활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한 전 위원장이 총선 과정에서 정치개혁 공약으로 내세웠던 출판기념회 금지, 국회의원 세비 중위소득 수준 삭감 등은 `여의도 정치`라고 꼬집었다.
뚜렷한 당권주자가 없어 당내 입지가 흔들리는 친윤계는 한 전 위원장이 대표가 된 이후의 상황에 집중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