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12일 오전 전북 부안군에서 발생한 규모 4.8 지진은 `한반도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는 경고 메시지처럼 느껴진다. 일본보다 지진 위험이 훨씬 작은 것은 사실이지만, 학계에서는 한반도에도 규모 7.0의 강진이 일어날 수 있다고 예측했다.한반도는 유라시아판 내에 위치해 일본과 같이 판 경계에 자리한 지역보다 지진이 적다.한국수력원자력 자료를 보면 2000~2022년 일본의 연평균 규모 5.0 이상 지진 횟수는 114.5회로, 0.3회에 그치는 한국보다 압도적으로 많다.한국은 디지털지진계로 관측을 시작한 1999년 이후 규모 2.0 미만 미소지진을 제외한 `지진다운 지진`이 연평균 70.8회 발생한다. 한해 발생하는 지진 대부분은 규모가 2.0대에 머물며, 이번처럼 4.5가 넘는 강진은 매우 드물다.실제로 1978년부터 한반도와 주변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4.5 이상 지진은 이번까지 포함해 28번에 그친다. 바다가 아닌 육지에서 발생한 경우는 13번에 불과하다. 하지만 여태까지 없었다는 이유로 앞으로도 강진이 없을 것이라고 확언할 수는 없다.더구나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한반도 동쪽이 일본 쪽으로 끌려가면서 한반도가 과거보다 3㎝ 정도 넓어지고 지반이 약해져, 과거보다 지진이 빈발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학계에선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 최대규모를 `6.5~7.0`으로 본다.규모 7.0 지진이면 기상청이 지진 계기관측을 시작한 이래 가장 강했던 지진인 2016년 9월 경주 지진(규모 5.8)보다 위력이 63배 강하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박은진 선임연구원이 최근 기고한 글을 보면 연구원이 국내 대표 단층대인 양산단층대를 조사한 결과 이 단층대 여러 단층 구간이 과거 동시에 움직였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이때 발생했을 지진의 규모는 모멘트 규모로 `6.4` 정도였을 것으로 추산됐다.모멘트 규모가 6.0만되도 위력이 TNT 1메가t이 터졌을 때와 맞먹는다. 제2차세계대전 때 일본 나가사키에 떨어진 핵폭탄보다 30배 이상 강하다.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 최대 규모가 7.0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규모 4.8 지진은 언제 어디서나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