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신일권기자]장인화 회장 체제의 `포스코그룹` 위상이 확 달라졌다.  최정우 전 회장 체제에서 있었던 정부와의 `포스코 패싱`이란 말도 이젠 사라졌다. 장인화 회장이 취임하면서 윤석열 대통령도 재계 5위인 포스코그룹을 확실한 `경제정책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10일 오전 윤 대통령과 함께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방문자리에 경제사절단으로 출국했다.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장인화 회장은 윤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에 국내 재계 주요 총수 자격인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했다. 최 전 회장이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대통령 해외 순방 경제사절단에서 배제된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최 전 회장 시절의 포스코는 재계 5위 그룹임에도 국내 행사는 물론이고 대통령 경제사절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며 `포스코 패싱`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장인화 회장은 지난달 2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중소기업대회`에 포스코그룹 회장 취임 이후 처음으로 초청받아 참석하기도 했다. 재계에서는 최 전 회장 시절 정부와의 불편했던 관계가 장 회장이 취임하면서 점차 해소된 것으로 보고 있다.포스코 협력업체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공식행사 또는 대통령 국빈 방문에 장 회장을 잇따라 초청하는 것은 포스코그룹을 확실한 경제 정책 파트너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향후 국가 경제정책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포스코그룹 임직원들도 장인화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경제사절단으로 해외 순방에 동행하는 것을 크게 반기고 있다.포스코 한 직원은 "윤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해외 순방에서 자원과 에너지, 인프라 분야 등의 협력을 모색하게 된다. 특히 자원이 풍부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양해각서 체결에 따른 포스코의 역할도 커질 것"이라고 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