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TK)의 행정통합이 속전속결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다 자칫 무슨 변수라도 생길까봐 덜컥 겁이난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의기투합한 데 이어 윤석열 대통령까지 적극 지원 방침을 밝히면서 통합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또 오는 6월 4일 서울에서 고위급 4자 회동이 열린다고 하니 그야말로 급물살을 타는 모양새다. 이런 마당에 이철우 경북지사가 "대구경북 통합 명칭과 청사 위치 등은 매우 민감한 문제다. 시·도민의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충분한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26일 SNS에 올린 글로 이상한 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이 지사는 `경북이 큰 집이었는데 경북이 사라지면 안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다음 달 4일 오후 3시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만나 대구경북 통합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 정부 차원의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한다. TK 행정통합은 오는 2026년 지방선거 때 `통합 단체장` 선출을 목표로 하는 만큼 최대한 속도를 내야 한다. 다만, 급히 서두른다고만 해서 될 일은 아니다. 통합 추진 과정에는 여러 변수가 놓여 있고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예상되는 난관을 뚫으려면 주도 면밀하고 선제적인 대비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시·도민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고 특별법도 만들어야 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22일 "윤 대통령 지시로 대구경북 통합을 주도할 시·도 단체장과 주무(행정안전부) 장관, 지방시대위원장의 4자 회동을 6월 초에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선 특별법 추진을 비롯한 TK통합의 그랜드플랜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발맞춰 대구시·경북도 실무 협상도 지난 23일 이미 시작됐다. 그야말로 속전속결이다. 지방소멸 위기 극복이 절박한 만큼 통합 작업은 빠를수록 좋다.
한가지 우려되는 점은 이철우 도지사가 지적했듯이 시·도통합 명칭, 청사 위치 등 민감한 사안은 충분한 시간을 갖고 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 갈등 요인을 미리 키우기보다 지역민의 공감과 지지를 얻는 게 우선이다. 사실 TK 행정통합 시도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번이 두 번째 나온 것으로 4년 전 실패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주민이 배제된 관 주도의 하향식 추진으로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얻지 못한 게 가장 큰 문제였다. 실제로 당시 통합에 찬성한 시·도민은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분명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대목이다. TK 행정통합을 위한 특별법 추진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먼저 통합명칭과 청사위치 문제 등을 놓고 시도민들의 공감대부터 먼저 이끌어 내는 게 더 급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