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ㆍ정다원기자]의대 증원·배분 결정의 효력정지 여부에 관한 법원 판단을 앞두고 국민 70% 이상이 의대 정원 2천명 증원에 찬성한다는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정부가 공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4∼15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대 증원 방안 관련 국민인식조사` 결과(신뢰수준 95% 최대 허용 표집오차 ±3.1%p)를 16일 공개했다.설문 결과에 따르면 정원 2천명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72.4%(매우 필요하다 26.1% + 필요한 편이다 46.3%)에 달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78.2%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 50대(72.1%), 40대(70.1%), 20대(68.3%), 30대(67.8%) 등의 순이었다.응답자를 소득 수준으로 나눴을 때 400∼600만원(73.1%), 600만원 이상(78.2%)에서 상대적으로 찬성 비율이 높았다.이념성향으로는 보수에서 `필요하다`는 응답이 82.1%로 가장 높았고, 중도(70.9%), 진보(68.3%)에서도 70% 가까이 증원 필요성에 찬성했다.의대 교수 집단행동에 대해서는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8.7%를 차지했다.교수 집단행동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모든 연령대에서 70% 이상을 웃돌았는데, 60대 이상에서는 84.8%로 특히 높았다.정부의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의료계가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도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1.8%나 됐다.의료계의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7.8%, `동의한다`는 응답이 36.7%였다.집단으로 사직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면허정지 처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면허정지 처분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55.7%에 달했다.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에 동의한 응답률은 20대(68.3%)에서 가장 높았다. 30대(55.7%)와 40대(54.2%). 60대(55.4%)에서는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었고, 50대(47.2%)는 절반을 밑돌았다. `면허정지 처분을 중지하고 대화를 통해 설득해 나가야 한다`는 응답은 38.9%였다.정부의 2025학년도 대학입시 의대 정원 50∼100% 자율 모집 조치에 대해서는 `잘한 결정이다`라는 평가가 51.4%로 가까스로 절반을 넘었다. 응답자들은 보건의료 분야 위기의 심각성을 묻자 87.3%가 `심각하다`고 답했다.다만 비상진료 상황과 관련한 정부 대응에 대해서는 65.3%가 `잘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