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경북도는 7일 도청에서 2024년 지역 대학 특성화 전략을 도내 대학들과 논의하기 위해 ‘2024년 지방대학ㆍ전문대학 활성화 사업 특성화 전략회의’를 개최했다.이날 회의는 도 및 도내 지방대학ㆍ전문대학 활성화 사업 참여 22개 대학 관계관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역-대학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2023년도 사업 추진 성과와 2024년 사업의 추진 전략과 방향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였다.‘지방대학ㆍ전문대학 활성화 사업’은 교육부에서 비수도권 대학(일반대ㆍ전문대) 130여 개를 대상으로 지역 대학과 지자체의 연계ㆍ협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각 대학이 지역 발전과 연계된 특성화 전략을 발굴하면 교육부는 대학별 사업비 차등 배분해 지역 발전 전략에 부합하는 대학의 여건 개선과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경북도는 일반대 10개, 전문대 12개가 본 사업에 지정돼 총사업비 347억원(2023년 기준)을 확보했으며, 2024년도에는 보다 많은 인센티브를 확보하기 위해 회의에서 대학별 차별화 전략을 공유했다. 또한 이날 참석한 대학 관계자들은 지역 정주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과 지역 산업체 등 수요자 중심의 교육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과 대학이 상생․협력할 다양한 방안과 함께 지자체-대학의 동반관계를 강화하는 계획을 발표했다.특히 ‘지방대학·전문대학 활성화 사업’은 교육부 특수목적재정지원 4개 사업과 함께 2025년 시행 예정인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 체계(RISE)로 통합한다.또한 지역과 대학은 동반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전면 개편되는 RISE 체계하에 지역 발전에 부합하는 특성화 대학 육성을 위한 지․산․학 간 협력적 거버넌스를 지속해서 이어간다.정성현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이날 회의에서 “비수도권 지역과 대학은 소멸의 위험이라는 공동의 위기에 처해있다”며 “대학이 지역 발전에 맞춘 특성화 전략을 찾고 지역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혜안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