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의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노선인 영일만대교가 드디어 확정되었다. 이 노선은 또 해저 터널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고속도로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에서 영덕군 강구면 삼작리 구간(상주~영덕 간 고속도로)이다. 총 연장은 48.2km이고, 폭은 20.0m(4차로)이다. 총 사업비는 3조300억 원이다.
영일만항을 가로지르는 해상 구간은 9.1km의 사업비는 1조1,400억 원으로써 민간 투자로 진행한다. 동해안을 시점으로 4.2km는 해저(침매)터널이다. 나머지 신항만까지 3.9km는 영일만대교(가칭)로 계획하고 있다. 그리고 터널과 교량 중간에 인공섬(24만㎡)을 조성한다. 이 인공섬에는 신도시 건설과 지역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한다.
올해 국비 65억 원을 확보하고, 민간투자를 제외한 일반 구간 39.1km는 기본 설계를 완료한다. 그리고 오는 2013년도에 실시 설계를 착수하여 2020년 사업을 완공할 예정이다. 이 사업이 완공되면, 포항시가 동해안의 중심 도시로써, 국토의 U자형 발전의 토대가 될 것으로 내다본다.
여기까지 오기 위해, 중앙부처와 지역 국회의원을 방문하는 등 이 사업의 필요성을 꾸준히 역설한 결실이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9월 정부의 광역 경제권 30대 선도 프로젝트에 이번의 구간인 7축(울산~포항~영덕)고속도로가 포함되었다. 뿐더러 타당성 조사에서 통과됨으로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이 사업이 끝나는 시점이 되면, 포항시 국도 대체 우회도로와 연계한 네트워크형(교통순환 체계)이 된다. 그래서 현재 추진 중인 국가산업단지(블루밸리)와 포항공항, 신항만, 포항철강 산업단지와의 접근성이 보다 빨라 교통이나 물류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 효과를 부를 것이다.
위의 사업이 완공되는 시점부터 포항시가 전국으로 향하는 문이 활짝 터이게 된다. 게다가 포항시를 중심으로 관광이나 산업 등이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것이다. 또한 포항시의 모습이 완전히 바뀌게 될뿐더러, 경제나 경기의 활성화로 새로운 일자리도 창출될 것이다. 포스코와 이번의 사업이 또 연계된다면 그 효과를 수치로써는 결코 산출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래서 포항시민뿐만 아니라, 국토 U자형 인구 모두가 다른 경제나 삶을 영위할 것으로 본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