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지난해 우리나라 농가 수가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졌다.
농민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 비율은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고, 어가·임가에서도 고령화 추세가 심화되고 있다.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작년 12월 1일 현재 우리나라 농가는 99만9천 가구로 나타났다.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으로 전년보다 2만4천 가구(2.3%) 감소했다.농업조사가 시작된 1949년 이래 처음 100만 가구를 하회했다. 다만 통계청은 총조사가 아닌 표본 농가(4만7천725가구)로 추정한 값이라 약 ±1만 가구 오차범위가 있다고 설명했다.농가 인구는 208만9천명으로 전년보다 7만7천명(3.5%) 줄었다.연령별로 70세 이상이 76만7천명으로 전체 농가 인구의 36.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60대(64만명), 50대(31만2천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농가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52.6%로 전년보다 2.8%p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우리나라 전체 고령인구 비율이 18.2%인 것을 고려하면 농가의 고령화가 두드러진다.가구원 수를 보면 2인 가구가 전체 농가의 57.5%로 가장 많았다.1인 가구도 22만6천 가구로 22.6%를 차지했다. 농가 5집 중 1집은 1인 가구인 셈이다.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농가는 전체의 64.5%였다. 1억원 이상인 농가는 4.2%에 그쳤다. 과수재배 농가에서 과수별로 떫은감이 전체 농가의 4.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사과(3.9%), 복숭아(3.6%), 단감(3.5%) 순이었다.전년보다 단감 재배 농가는 1천500가구 증가한 반면 사과(-2천500가구), 배(-700가구) 등 나머지는 감소했다.지난해 어가는 4만2천 가구, 어가 인구는 8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어가는 800가구(1.8%) 감소했고 어가 인구는 3천700명(4.1%) 줄었다.어가 고령인구 비율은 48.0%로 전년보다 3.7%p 증가했다.수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어가는 1만6천500가구로 전체 어가의 39.4%를 차지했다. 1억원 이상은 6천300가구(15.1%)였다. 육림업, 벌목업 등 임업 가구나 나물·버섯 등을 재배하는 재배 가구 등을 일컫는 임가는 9만9천 가구, 임가 인구는 20만4천명으로 나타났다.직전 해보다 임가는 1천400가구(1.4%), 임가 인구는 5천800명(2.7%) 줄었다. 임가 고령인구 비율도 52.8%로 전년보다 4.0%p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