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총선특별취재반]22대 총선의 최종 개표 결과 국민의힘이 108석을 얻으며 완패했다. `개헌 저지선`인 100석은 넘겼지만 `패스트트랙 저지선`인 120석은 확보하지 못했다. 결국 총선을 이끌었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사퇴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국회의원 300명(지역구 254명·비례대표 46명) 당선자가 확정됐다. 구체적으로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연합 175석 △국민의힘+국민의미래 108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진보당 1석이다.역대급 `여소야대` 결과에 총선이 끝난 지 만 하루도 채 되지 않아 한 위원장은 이날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선거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비상대책위원장 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발표했다.여당의 참패는 `정권 심판론`·`조국 돌풍`·`원톱 의존`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무엇보다 총선을 앞두고 용산발 악재가 계속 터지면서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는 민심의 목소리가 커졌다. 선거 막바지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논란,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기자 회칼 테러` 발언, 이종섭 전 호주대사의 도피성 출국과 귀국, 의대 정원 확대 갈등 등이 계속 이어졌다.구원투수로 나선 한 위원장이 취임 초 김 여사 명품백 논란 등에 다른 목소리를 내며 차별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키웠지만, 결국 `윤·한 갈등`에서 한 위원장이 고개를 숙였다.또 국민의힘은 야당의 `친명횡재 비명횡사` 공천 리스크와 선거 운동 기간 터져 나온 야당 후보들의 편법 대출, 막말 논란을 집중 거론하며 `정권 안정론`, `이·조 심판론`을 외쳤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특히 선거 막바지 `조국혁신당 돌풍`이 몰아치며 정권심판론은 더욱 강한 흐름으로 자리잡게 됐다. 최종 개표 결과 조국혁신당은 12석을 얻으며 원내 3당으로서 사안에 따라 캐스팅보트를 행사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패스트트랙을 추진할 경우 180석 이상이 필요한데 이 경우 조국혁신당이 영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선거 전략에서도 한 위원장의 `원톱 체제`가 한계를 드러냈단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이재명 대표를 포함해 이해찬, 김부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선거 기간 내내 전국을 누볐다. 여기에 전임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힘을 보태 사실상 `4톱 체제`가 됐다.물론 국민의힘도 안철수·원희룡·나경원 등 3명의 공동선대위원장이 선임됐지만 이들은 자신의 지역구 선거에 집중하느라 전국 단위 선거에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단 평가다. 결국 한 위원장이 고군분투하며 강행군을 이어나갔고, 총선 전날인 9일 파이널 유세에서 탈진 증세를 보이면서 거리 인사를 취소하는 일까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