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총선특별취재반] 10일 치러진 22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최종 투표율(잠정)이 67%를 기록하며 지난 총선 최종투표율(66.2%)를 넘어섰다. 1992년 14대 총선(71.9%) 이후 32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투표율 최종집계에 따르면 전국 4428만11명 유권자 중 2966만1953명이 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5~6일 이틀간 실시된 사전투표(투표율 31.28%)와 재외투표, 거소투표, 선상투표까지 합산한 수치다.지난 총선을 넘어서면서 2000년대 들어 치러진 총선 중에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역대 총선 투표율은 △14대 71.9% △15대 63.9% △16대 57.2% △17대 60.6% △18대 46.1% △19대 54.2% △20대 58.0% △21대 66.2%였다.시도별로는 세종이 70.2%로 가장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서울 69.3%, 전남 69%, 광주 68.2% 순으로 뒤를 이었다.제주가 62.2%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대구 64%, 인천 65.3%, 충남 65%, 경북 65.1%, 충북 65.2% 등도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전통적인 더불어민주당 강세 지역인 호남 지역 투표율은 평균 이상을 기록했고, 국민의힘 강세 지역인 대구·경북(TK) 투표율은 평균 이하에 머물렀다. 특히 국민의힘 보수텃밭인 TK에서는 대구가 64%, 경북이 65.1%로 전국 평균보다도 낮았고, 반면 민주당의 진보텃밭인 호남지역은 광주가 67.4%, 전남이 68.9%로 지난 총선 보다 높았다. 이로써 호남지역의 투표율이 높으면 민주당이 압승, TK지역의 투표율이 낮으면 국민의힘 참패라는 정설이 이번 총선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이날 오전까지는 지난 5∼6일 실시된 사전투표가 합산되지 않아 투표율이 지난 총선보다 1%p가량 낮게 나타났지만, 오후 1시 집계부터 사전투표가 합산되면서 투표율이 뛰었다. 하지만 그기까지였다. 투표 마감 시간까지 결국 지난 총선(66.2%)을 넘지 못했다. 이번 총선 사전투표율은 21대 총선(26.7%)보다 4.6%p 높은 31.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여야 간 극한 대립 국면이 이어지면서 각 진영 지지층이 집결했고, 기존 사전투표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해온 보수 유권자들도 정치권의 사전투표 독려, 수검표 절차 도입 등으로 사전투표에 많이 참여한 결과로 보인다.다만, 사전투표 분산 효과로 선거 당일 투표율은 직전 총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이날 오후 4시 투표율에서 사전투표율을 뺀 선거일 투표율은 30.5%로, 직전 총선 동시간대 선거일 투표율(33.0%)보다 2.5%p가량 낮았다.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남 투표율이 68.9%로 가장 높았고, 광주(67.4%), 전북(67.0%) 등 호남 지역에서 투표율이 전국 평균을 넘었다. 호남지역 투표율은 지난 총선 동시간대 투표율보다 모두 높았다. 여야의 빅매치가 벌어진 서울과 수도권, 부산의 투표율도 지난 총선보다 높다. 서울이 67.9%, 경기도 64.4%, 부산이 66.7%, 경남 66.7%, 세종 67.5%, 인천 64.7% 등으로 집계됐다. 호남은 대표적인 야권 강세 지역이다. 집권 3년차 윤석열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띤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이 강조해온 `정권 심판론`이 작동한 결과로 풀이된다.반면, 국민의힘 강세 지역인 대구 투표율은 62.8%로, 제주(60.3%) 다음으로 가장 낮았다. 경북 지역도 64.7%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대구와 경북 지역 투표율은 지난 총선 동시간대 투표율보다 모두 낮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