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영삼기자]독도경비함 경찰관들의 안전장비가 보강됐다.
동해해양경찰서는 독도, 울릉도, 동해 등 최일선 함정 경찰관이 악천후 속에서 선박 구조작업 중 해상추락 방지 등 안전확보를 위한 구조용 안전장비(해상안전 하네스)를 도입했다.
이번 장비 도입은 동해 해역 특성상 높은 파고와 강풍 등으로 구조작업 중 경찰관이 바닷물에 휩쓸리는 위험사례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조용 안전장비는 총 60개로 동해해양경찰서에서 자체 개발했고 시중에 상용화된 작업용 안전 하네스를 로프와 연결해 선체에 묶는 방법이다.
또한 향후 구명조끼와 일체화시키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9~2023) 전국적으로 총 1만9320척에 해상 사고가 발생했다.
이중 기상악화 시 사고 척수는 1459척이며 사고 대응률은 7.5%이다.이에 반해 동해해경은 총 786척에 사고 중 기상악화 시 사고 척수는 123척으로 사고 대응률이 15.6%로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 2022년 12월 독도 해상에서 기관고장 선박 구조 당시 풍랑경보의 7m 높은 파도 속에서 예인 구조작업을 준비하던 경찰관이 파도에 휩쓸려 골절상을 입는 일이 있었다.또한 지난 1월 독도 해상에서 풍랑경보 속 기관고장으로 표류하던 선박을 구조하던 과정에서 6m 높은 파도로 경찰관들의 생명이 위험한 상황이 연출되는 일도 있었다.
7일 유충근 서장은 “동해 해역이 넓고 파도가 높아 기상악화 시 원거리 사고 대응률이 타 경찰서보다 높고 현장 경찰관의 안전을 확보할 방안이 필요했다"며 “경찰관의 안전이 조난선박 등의 구조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해양 사고 위험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