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일 의대 증원·의료 개혁에 대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의료계의 단체 행동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국민께 “송구하다”는 뜻을 먼저 전했고,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방침에 반발하고 있는 의료계를 향해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가져온다면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다”며 한발 물러선 모습을 보였다. 대통령이 이런 모양새를 취한 만큼 의료계도 국민의 불편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전향적 모습을 보여야 할때가 된 것이다. 언제까지 국민을 볼모로 정부와 싸우겠다는 것인가. 윤 대통령은 이날 증원 규모를 논의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내비쳤다. 그는 “의료계가 증원 규모를 2000명에서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려면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시해야 마땅하다”며 “더 좋은 의견과 합리적인 근거가 제시된다면 정부 정책은 더 나은 방향으로 바뀔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건부이긴 하지만 정부가 고수해온 ‘2000명 증원’에 대해 조정 여지를 열어둔 셈이다. 다만 윤 대통령은 정부가 제시한 2000명이라는 숫자는 충분한 논의와 계산을 거친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단계적·점진적 증원 방안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의료계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대통령의 입장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 당선인은 페이스북에 “대통령 담화에 대한 제 입장은 ‘입장 없다’가 공식 입장”이라고 썼다.윤 대통령은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하면서 의료 대란 우려가 커지는 것과 관련해 “얼마나 불편하고 불안하시냐”며 “어려운 상황에도 불편을 감수하며 정부의 의료 개혁에 힘을 보태주고 계신 국민 여러분께 감사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와 감사의 마음을 동시에 전했다. 대통령이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개혁의 정당성을 강조하면서도 정책 변화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계에 먼저 손을 내민 것이다. 원하는 수준의 변화가 없었다면서 무대응으로 일관하며 “끝까지 가보자”는 식으로 이를 뿌리치는 건 무책임한 일이다. 의료계도 합리적인 공통의 대안을 마련해서 대화의 테이블로 나서 주기 바란다. 국민이 이제 더 이상 불안하지 않도록 의료계가 전향적 자세를 보여야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