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영식ㆍ이태헌기자]경산에 초대형 아웃렛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대형 유통시설 유치에 반대의견을 피력해오던 산업자원부가 긍정적인 분위기로 돌아서면서 대형 아웃렛 유치에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이로써 경산지식산업지구는 산업·문화·여가가 어우러진 복합 경제산업구역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27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하 대경경자청)과 경산시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5일 열린 경제자유구역 자문회의에서 대경경자청이 제출한 경산지식산업지구의 21차 개발계획변경안(이하 변경안) 등 2건에 대한 전문가 검토와 자문을 마쳤다. 이번 변경안은 지난해 12월 21일 경제자유구역 심의위원회에 상정했다가 `보류` 결정을 받은 19차 변경안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변경안은 경산지식산업지구 2단계 사업 지구 내 산업시설용지 일부(10만9228㎡)에 대형 유통상업시설을 조성하고 지역산업거점 혁신클러스터를 만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유통상업용지 구획을 당초 계획(15만4120㎡)보다 축소한 점이 눈에 띈다. 또 대형 쇼핑몰과 홍보관·지식센터 등을 건립할 경우 지구 내 정주여건이 개선돼 개발사업자 개발이익을 환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대경경자청은 ▷신규 일자리 1만3천여 명 창출 ▷연간 800만 명 방문 ▷생산 유발 1천493억원 ▷부가가치 유발 590억원 등 기대효과를 제시했다.개발계획변경 당위성으로는 `산업·문화·여가가 어우러져 지역민과 상생하고, 우수한 청년 인력이 찾아올 수 있는 복합 경제산업구역을 실현한다`고 돼 있다.대경경자청은 이 지구 1단계 조성을 시작한 2012년과 달리 지금은 기업의 수도권 쏠림이 심화했고 청년 유출도 심각해 지식산업지구 개발 콘셉트를 바꿔야 한다고 설득했다.이날 자문회의에서는 앞서 변경안에 부정적이던 반응이 바뀌었고 개발에 대한 당위성도 인정하는 등 긍정적인 분위기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자문회의 참석자들은 ▷기존 용지를 타용도로 변경했을 때 고용창출효과 등 타당성에 대한 근거 자료 ▷평균 49%에 그치는 2단계 사업지구 분양률 제고 방안 ▷개발사업 개발이익의 재투자 계획에 대한 구체적 방안 등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대경경자청은 이 같은 검토사항을 보완해 다음달 초 산업부에 변경안을 제출하고,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4월 말로 예정된 경제자유구역위원회에서 심의할 계획이다. 김병삼 대경경자청장은 “경산지식산업지구는 제3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의 비전인 ‘지역발전과 함께하는 글로벌 첨단비즈니스 거점’과 상통하고 있으며, 경제자유구역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과 경산의 미래핵심성장 동력을 위해 개발계획 변경(안)이 4월말로 예정된 경제자유구역심의위원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조현일 경산시장은 "최종 심의위원회에는 직접 참석해 개발계획변경의 당위성 등을 피력할 것"이라며 "이번 변경안을 통해 지구 내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전국에서도 최고로 손꼽히는 경제자유구역을 만들겠다"고 말했다.한편 산업부는 그동안 `당초 경산지식산업지구 조성 목적이 `기계부품·첨단의료기기 및 메디컬 신소재 특화단지`인 만큼 대형 유통시설 유치는 타당하지 않고, 특정 기업에 특혜 논란이 있다`며 반대 의견을 유지해 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