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용묵기자] 경북도는 지난해 사과 등 과수 생산량 감소에 따른 수급 불안과 가격 강세가 최근까지 지속됨에 따라 올해 안정적인 과수 생산 기반 조성을 위해 생육 초기부터 저온 피해에 대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올해 1월에서 2월의 일평균 0℃ 이상 누적기온이 124℃로 전년 대비 1.3배 높으며, 봄철 주요 과수 개화 시기가 최대 9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상, 개화기 전‧후 최저기온 –2℃ 내외에서 과수 저온 피해가 우려된다.따라서 경북도는 저온 등 이상 기후에 대비해 과수 재배 농가의 열풍방상팬과 미세 살수 장치 등 재해 예방시설을 확대 공급 설치토록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한편 국비를 추가 확보해 14개 시군에 62억원(630농가, 409ha)을 지원한다.아울러 저온 피해경감제 지원을 여러 차례 중앙부처에 건의, 과실 적립금 9억원과 사과 자조금 5억원, 총 16개 시군 14억원을 확보했다.영주, 청송, 안동, 의성, 봉화, 등 9개 시군은 23억원의 자체 지원을 통해 저온 피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인다.또한 생육 관리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과수 최대 생산지인 경북도는 지난 2월 29일 시군, 농협, 자조금 등 관계기관과 함께 ‘봄철 생육상황관리 대책회의’를 개최했다.대책 회의에서는 기상재해와 응급 상황에 대비 상황 전파를 위한 품목별 농가 비상 연락망 구축, 저온 피해 경감제 공급 과 적기 살포 홍보, 재해 예방시설 설치를 3월까지 완료토록 독려했다. 현재는 매일 시군을 통해 과수의 생육 상황을 점검해 피해 예방에 힘쓰고 있다.
지난해 봄철 저온으로 21개 시군 2만886ha 피해를 보았고 사과의 경우 도 재배 면적의 69%에 해당하는 13851ha가 저온 피해를 보았다.경북도 김주령 농축산유통국장은 “도‧시군, 농협, 자조금 등 관계기관과 함께 민․관 합동 대응 체계 구축과 철저한 대비로 지난해와 같은 저온 피해가 발생해 수급 불안이 반복되지 않도록 생육 관리를 빈틈없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