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하며 파업에 나선지 한 달을 맞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8일 전격적으로 의료 현장을 찾아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을 찾은 윤 대통령은 의료진과의 간담회에서 의료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거듭 설명하고 동참을 호소했다. 때맞춰 보건복지부는 어제 필수의료 분야에 2028년까지 10조원 이상을 투자하는 한편 의료체계 왜곡의 주범으로 지적돼 온 상대가치 수가 제도도 전면 개편하겠다고 했다. 그동안 의사 집단이 의료개혁의 핵심 요소로 지목한 사항들을 대대적으로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제때 수술을 받지 못해 목숨을 잃은 환자 얘기가 나온 지도 오래됐다. 그런데도 의료 파행을 외면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은 더 확산될 조짐이다. 전임의들에 이어 의대 교수들마저 집단 사직에 나설 태세다. 동네병원 의사들 모임인 개원의협의회도 토요·야간 진료 중단을 논의하고 있다. 의사수 절대 부족에 따른 그 처방책에 대해 국민 10명 중 8명이 전폭 지지하고 있건만 의사들은 무소불이다. 정부의 수가체계 개편 방침에 대해서마저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왜 이제서야 수가체계 개편 얘기를 하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했다. 이쯤 되면 의사들의 ‘파업’이 의대생 증원에 따른 밥그릇 감소 때문이라고 스스로 자인한 셈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의료계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도 점점 나오는 점이다. 뇌혈관외과학회와 뇌혈관내치료의학회 등 뇌혈관 전문학회 소속 약 1300명의 의사들은 어떤 경우에도 의사는 환자를 떠날 수 없다며 병원 사수를 선언했다. 주영수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의사들의 집단행동을 비판하며 전공의 복귀를 촉구했고 방재승 전국 의대 교수 비대위원장은 전공의 복귀와 즉각적인 대화를 호소했다. 빅5 병원의 일부 교수들도 전임의들의 복귀를 종용하고 나섰다. 국립대 총장들도 집단휴학에 나선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하고 있다. ‘정부는 의사를 못 이긴다’는 착각은 과거 정부의 오판에서 나온 잘못된 발상이다. 의료개혁은 승자와 패자로 갈리는 싸움의 대상이 아니다. 의사가 아닌 국민 모두를 위한 것이다. 윤 대통령이 내민 대화의 손을 의료계는 외면하지 말기 바란다. 병원을 떠난 의사들은 이제 환자 곁으로 돌아오기 바란다. 국민들도 이제 더 이상 지켜보는 것도 한계가 있다. 국민이 돌아설 때는 의사들도 설자리가 없다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