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우리나라의 수출이 호조를 이어가면서 연 수출 규모 5천억 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이는 세계 8번째 기록이다.
올해 들어 11월까지 무역액은 9천876억 달러를 찍으며 연내 1조 달러 달성 목표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달 수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8% 증가한 470억 달러, 수입은 11.3% 늘어난 431억 달러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10월 한자릿수로 떨어졌던 수출 증가율이 두자릿수를 회복하면서 무역흑자는 39억 달러를 기록, 22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선박, 석유제품 등 주력품목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1-11월 수출 누계가 5천87억 달러를 기록, 연간 수출 5천억 달러를 사상 처음으로 달성했다.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1964년 1억 달러였던 것이 1971년 10억 달러, 1995년 1천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세계에서 8번째로 5천억 달러 기록을 세우게 됐다.
우리나라에 앞서 미국, 독일, 중국, 일본,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이 연 수출 5천억 달러를 달성한 바 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출 5천억 달러를 달성한 나라는 우리나라가 처음이라고 지경부는 전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에 앞선 7개국은 수출 1천억 달러에서 수출 5천억 달러를 달성하는 데 평균 20.1년이 걸렸지만 우리나라는 1995년 수출 1천억 달러를 달성한 이후 16년 만에 이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수출액 증가율은 1-9월 기준 22.9%로 중국(22.7%)과 이탈리아(22.0%), 독일(21.7%) 등을 제치고 작년 1-10위 국가 중 1위를 달리고 있다.
1-11월 주요품목의 수출 규모를 보면 선박이 522억 달러로 가장 컸고, 석유제품 471억 달러, 반도체 459억 달러, 자동차 409억 달러, 액정디바이스 255억 달러 등이었다.
11월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석유제품(46.2%), 자동차(30.4%), 철강제품(21.7%), 석유화학(10.9%), 선박(7.0%) 등 주력 품목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29.7%나 줄었으며, 액정디바이스(-5.6%), 반도체(-0.8%) 등도 감소했다.
지경부 관계자는 "작년 3.5%에 불과했던 스마트폰 해외생산 비중이 지난 3분기 약 60%로 높아지는 등 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추세가 본격화하면서 무선통신기기 수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수출이 감소했지만 휴대전화 및 스마트폰 세계 시장 점유율은 1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중동(23.3%)과 아세안(16.5%) 등 신흥지역 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했고 지난달 감소했던 미국으로의 수출도 25.1%나 늘어난 반면,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은 11.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일본으로의 수출은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중국은 10월 16.0%에서 11월 9.2%로, 일본은 25.3%에서 5.6%로 증가폭이 줄었다.
수입의 경우 자본재 수입이 4.7% 감소하고, 원자재 수입 증가폭이 2.2%로 축소되면서 증가율이 10월 16.4%에서 11.3%로 축소됐다.
지경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 침체로 투자가 주춤해지면서 자본재 수입이 줄었고, 지난달 고온현상으로 원유, 가스 등 원자재 수입도 주춤해지면서 수입 증가폭이 줄었다"며 "완전한 불황형 흑자라고 단정하기는 힘들지만 경기가 둔화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소비재 수입은 1.3% 늘어난 가운데 소비재 중에서도 육류(38.2%) 등 직접소비재 수입은 8.9%, 의류(50.9%) 등 비내구 소비재 수입은 27.8% 증가한 반면, 가정용 전자제품(-11.6%) 등 내구 소비재 수입은 22.2% 줄었다.
한편, 1-11월 교역규모는 9천876억 달러를 기록, 이달 5~6일께 1조 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경부 관계자는 "연말 특수에 힘입어 12월에도 수출 증가세와 흑자 추세가 유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