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이 가고 따스한 햇살이 비추는 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봄철은 야외활동을 즐기기에 좋은 계절이며 대표적 야외활동으로 등산을 들 수 있습니다. 소방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 동안 전국 산악사고 구조건수는 총 3만3,022건이며, 구조 인원은 매년 증가 추세(2020년 7180명→2021년 8,348명→2022년 8706명)에 있습니다.시기적으로는 봄철(3~4월)부터 증가하여 가을철(9~10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요일별로는 주말이 50.8%나 차지했으며, 사고원인으로는 조난사고(길잃음, 고립등) : 3,203건(26.8%), 실족‧추락 : 2,769건(23.2%), 개인질환 : 967건(8.18%), 탈진․탈수 : 788건(6.6%)으로 집계되었습니다.소방청에서는 다가오는 봄철 최근 3년 산악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등산로를 선정하고 등산로 입구에 ‘산악안전지킴이’를 운영하여 안전수칙 홍보활동과 순찰 등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신고 접수 시 신속한 구조활동을 전개할 계획입니다.따스한 봄날 추억과 건강을 위한 산행에서 여러 사고를 피하고 안전한 산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계획 및 경로 선택>산행 시 가족이나 주위 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에게 계획을 미리 알리고 떠나기 전에는 반드시 산악 지도 등을 확인하여 본인의 체력과 경험에 맞는 적절한 경로를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봄철 해빙기에는 겨울철에 쌓인 낙엽으로 등산로를 혼동할 수 있어 잘 정비된 대표등산로를 선택하여 길을 잃지 않도록 합니다.<그룹 또는 일행과 함께하기>단독 산행보다는 그룹이나 2인 이상 함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서로의 안전을 도와주고 위급 상황을 신속하게 대처하고 전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날씨 변화에 대한 대비>봄철은 날씨 변화가 많은 시기입니다. 따뜻하던 날씨가 갑자기 찬 바람과 함께 기온이 떨어지거나, 눈이나 비가 내리는 등의 기상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산행을 계획할 때는 날씨 예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여분의 옷과 비상용품을 챙겨 대비해야 합니다.<적절한 장비 및 준비물>산행에는 비상식량, 물 등을 적절한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장거리 산행 시 에너지를 보충할 수 있는 음식과 물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을 대비한 필수의약품도 함께 준비해야 하며, 계절과 반대되는 색상의 옷을 착용하면 조난 시 수색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합니다. 특히 조난 시 긴급구조기관과 연락을 유지하지 못하면 구조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핸드폰 보조배터리를 휴대하여 사고 발생 시 긴급구조기관과 연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는 신속한 결단력이 필요하며, 구조기관에 정확 위치를 와 사고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주목적이 되어야 합니다.즉시 119로 신고하고, 주변에서 국가지점번호 및 소방서 위치표지판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면 119로 정보를 전달해 주는 것이 좋으며, 주변 등산객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핸드폰 나의 위치 보내기 등을 통해 GPS 정보를 보내는방법도 있습니다. 또한 등산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이동한 경로와 위치를 등 확인 할 있어 길을 잃더라도 이동 경로 정보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구조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인지하시고 대처하는 것이 안전한 산행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봄철 꼼꼼한 준비와 체력과 경험에 맞는 산행 계획으로 산악에서 만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하고 즐거운 추억을 남기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