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5일 전국 대학의 의대 증원 신청을 받은 결과, 40개 대학에서 3401명을 늘리겠다고 신청해 온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당초 의대 증원 목표(2000명)는 물론 지난해 실시한 수요조사 결과 중 최대치(2847명)도 뛰어넘는 숫자여서 정부도 놀랐다. 특히 비수도권 27개 의대에서 전체의 72%인 2471명의 증원을 신청해와 지방의 열악한 의료현실을 반영한 것 같아 안타깝기도 했다. 의사들이 자신들의 밥그릇 지키기와는 반대로 의대 증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번에 입증됐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고령화로 의료 수요가 날로 늘어나는데 의대 정원은 26년 동안 1명도 늘리지 못했다. 오히려 2000년 의약 분업 도입 때 의사들 요구에 밀려 351명을 감축하기까지 했다.
의료계는 대학 총장들에게 증원 신청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으나 대학들의 판단은 달랐다. 의대 증원으로 의료 수요에 부응하고 대학의 위상 제고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특히 지방 대학 총장들은 “지역 의료 확충을 위해서 의대 정원 확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대다수 국민의 뜻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정부는 이번에 대학들에 의학 교육 여건도 감안해 신청해 달라고 했는데도 이런 결과가 나왔다. 대폭 증원 시 의학 교육 질 저하 우려도 과장된 주장일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전공의 등의 집단행동이 장기화하면서 환자 피해는 계속되고 있다. 병원들은 수술 축소와 진료 연기 외에 일부 병동을 통폐합하고 있다. 그럼에도 전공의들은 복귀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전임의들 이탈 규모도 커지고 있다. 서울 상위 5개 대형 병원 의사 중 19%(1330명)가 전임의다. 일부 의대 교수들도 사직 의사를 밝히고 있다고 하니 걱정이 앞선다. 의사들이 집단 이익을 위해 환자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파업을 하는 것은 어느나라에도 없는 일이다. 의사가 환자 곁을 떠나서는 국민들의 공감을 얻을 수 없다. 그로 인해 사망하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겪는 환자들이 발생할 경우를 생각해 보라. 그 가족들이 겪을 고통을 상상이나 할 수 있나. 많은 국민들이 환자를 버리고 의료 현장을 떠난 의사들에게 좋은 눈길을 보내겠나. 어떤 경우라도 의사가가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을 떠나서는 안된다. 지금 당장의 제 밥그릇 지키기가 언젠가는 더 큰 생존 부메랑으로 다가올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