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불과 한달여 앞두고 민주당의 지지율이 자꾸 추락하고 있다. 반대로 국민의힘의 지지율은 반등하고 있다. 리얼미터가 지난 4일 발표한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에서 여당 지지율은 46.7%, 더불어민주당은 39.1%다. 여당 지지율은 2주 연속 상승했고, 민주당은 4주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2월 말 이후 1년 만에 오차범위 밖에서 여당이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일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에서도 마찬가지다. 여당은 직전 조사 대비 3%p 상승한 40%, 민주당은 2%p 하락한 33%였다. 역시 오차범위 밖으로 격차가 벌어졌다. 민주당의 계속된 추락원인은 뭘까.
민주당의 지지율 추락을 이상하게 보는 국민도 없을 것 같다. 그간 민주당이 보인 이상한 공천 파동은 국민들을 실망시키기에 충분했다. ‘친명횡재, 비명횡사’라는 말이 대변하듯 ‘이재명 사당화’ 공천이나 다름없었다. 그 과정에서 탈당이 줄을 이었고, 심지어 여당에 입당한 의원들도 있었다. 민주당은 비례 선거제와 관련해서도 끝까지 시간을 끌다 위성정당을 안 만들겠다는 약속을 뒤집었다. 거기에 더해 친북 논란이 일었던 진보당과 함께 위성정당을 만들었다. 공천 잡음으로 집토끼를 쫓아냈고, 진보당과 손잡으면서 중도층까지 등을 돌리게 한 것이다. 당연한 결과다. 원내 1당인 민주당의 모습이 초라하기까지 하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증원 정치쇼’라고 비난하며 수수방관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더니 사태가 악화된 뒤에야 여야 및 정부, 의료계 4자 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의대 증원 지지율이 80% 안팎인 데서 보듯, 의대 증원은 국민 다수가 원하는 정책인데 민주당이 민심에 역행하는 꼼수를 보인 것이다. 또 50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유예안 처리가 무산된 것을 비롯해 그간 민생 입법에 소홀했던 민주당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다. 민주당이 내세우는 정권심판론이 먹혀들지 않고 있다. 민심과 동떨어진 꼼수만 자꾸 자행하고 있으니 지지율이 올라 가겠는가.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오히려 야당심판론이 터져 나올지 모른다. 민주당 지지율 하락에는 이재명 대표의 책임론이 가장 커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