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일 대구를 찾아 "대구에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정부가 과감한 지원을 펼치겠다. 대구경북신공항은 2030년 개항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건설에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연계 고속교통망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구에서는 처음 열린 민생토론회 자리에 참석해 대구경북 지역민들에게 큰 약속을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구 경북대에서 `첨단 신산업으로 우뚝 솟는 대구`를 주제로 16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대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오래된 산업구조 혁신과 낡은 교통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우선 가장 눈에 번쩍 띄는 대목은 윤 대통령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의 차질 없는 추진을 약속한 점이다. 윤 대통령의 말대로라면 TK신공항은 오는 2030년 개항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서대구, 신공항, 의성을 연결하는 대구·경북 신공항 광역급행철도를 건설하고 GTX급 차량을 투입하겠다. 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팔공산을 관통하는 민자 고속도로가 순조롭게 개통되도록 지원해 동대구와 동군위 간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했다. 아울러 대구 도심의 군부대 이전도 연내 후보지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로봇과 미래 모빌리티 산업 중심으로 대구 산업지도를 새롭게 그리고, 대구가 AI(인공지능)와 빅데이터 R&D 전진기지로 크게 도약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이를 위해 지난해 8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달성군의 국가 로봇 테스트필드에 2000억 원을 투입하는 한편, 대구 수성 알파시티를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로 조성해 제조업과 디지털의 융합을 이끄는 R&D의 핵심 거점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국립공원으로 승격된 팔공산을 대구의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키우겠다. 동성로 일대를 관광특구로 지정하고 국립뮤지컬컴플렉스와 국립근대미술관 건립을 통해 대구 관광산업을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팔공산 국립공원에 1000억원 규모의 국가 재정·인프라 투자를 먼저 시행하고, 동성로 일대는 대구 첫 관광특구로 지정해 청년과 관광객들로 붐비게 하겠다고 했다. 또 대구시민들이 불편을 호소했던 염색산단, 매립장, 하수처리장 악취 문제도 해결하고 안동댐 물을 대구 수돗물로 공급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의 이날 TK와 한 약속이 임기내에 꼭 실행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