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 국민의힘 TK(대구경북) 공천 경선에서 현역과 신인을 적절하게 안배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아직 몇몇 지역구에는 신구 대결이 남아 있고, 본선도 남아 있지만 3선 이상 대구경북 중진 의원들이 22대 국회에 대거 입성하게 됐다. 또 TK의 참신한 신인들도 여의도에 입성할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3선 이상의 많은 중진들이 다시 입성하게 돼 지역 연속적인 숙원사업 해결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공천 쇄신이 없었다는 혹평도 나오지만 대체로 현역과 신인을 적절하게 안배해 공정한 경선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1대 국회에서 대구경북 의원들의 존재감은 미약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민주당에 비해 열세인 소수당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지만 지역 의원들의 절박함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제 TK를 대표하게 될 의원들은 더불어민주당이 내세운 진보당, 새진보연합 등 위성정당의 비례대표와도 싸워야 하는 난제를 안고 있다. 이들은 한미동맹 파기를 표방하는 등 좌파, 반미, 친북 성향을 가진 인물들이다. 21대 국회에서 여러 논란을 일으킨 윤미향 의원보다 과격하고 그 숫자도 많다. 22대 TK 국회의원은 대한민국 정체성에 관한 사안뿐만 아니라 대구경북 현안에 대해서도 강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 대구경북신공항특별법과 달빛철도특별법이 천신만고 끝에 국회를 통과했지만 사업 성공을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IBK기업은행 대구 이전을 비롯해 경북의 이민청 등 공공기관 2차 이전 등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TK 국회의원들이 가장 먼저 부딪쳐 성과를 따내야 하는 일들이다.현재 TK엔 전국적 유명세를 타는 국회의원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소속 당의 총선 승리를 위해 수도권 등 이른바 험지에 출마하는 스타급 의원이 없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대구경북의 덩치에 걸맞은 ‘통큰 정치인’을 배출하지 못했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러다보니 보수의 텃밭 대구경북의 정치기상이 추락했다는 혹평까지 들린다. 이제 3선 이상 중진과 신인이 적절하게 22대 국회에 입성하는만큼 보수텃밭 대구경북의 목소리를 강하게 내주길 당부드린다. 그리고 국민의힘 당 내부는 물론이고 한국 정치에도 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의원이 나와주길 기대한다. 천신만고 끝에 공천권을 거머 쥔 후보들에게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