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 20일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전쟁’을 선포했다. 22개 경북도내 시·군 단체장과 각계 기관장 등 1000여 명이 참석해 저출생 극복을 위해 총력전을 펼치기로 했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결연한 의지와 경북도민 모두가 동참을 호소했다. 경북도는 인구소멸이 가장 심한 지역이다. 이 지사가 굳이 `전쟁`이라는 표현까지 쓸 정도로 경북은 지금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곳이다. 이날 이철우 도지사는 "경북도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돌봄, 주거 등을 초단기로 실시하고 저출생 극복을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 확산시키겠다"고 했다. 경북이 주도하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가 범국민적 운동으로 승화되길 기대한다.
경북도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전쟁`을 치르기 위한 새 패키지 정책도 이날 공개했다. 완전 돌봄, 안심 주거, 일·생활 균형, 양성평등 4개 분야 35개 과제를 초단기-단기-중기-장기 4단계로 나눠 실행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건 `온종일 완전 돌봄 모델`이다. 전문교사, 자원봉사자, 경찰 등으로 구성된 `돌봄공동체`가 마을, 학교, 산업단지 어디서든 초등생 이하 아이를 온종일 보살펴주는 서비스다. 부모의 육아 부담을 사회공동체가 나누겠다는 것은 현실에 맞는 신선한 발상이다. 경북도 계획대로 `완전 돌봄 특구`가 조성되면 출생률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런 제도가 정착되면 도시의 젊은부부들이 아이 낳기 좋은 경북의 농촌으로 몰려올 것이다. 저출생 문제는 정부가 수백조 원의 예산을 쏟아붓고도 해결하지 못한 국가적 난제다. 이런 상황에서 전국적인 저출생 극복 모델을 만들려는 경북도의 이같은 노력은 그 자체로도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하지만 지방정부의 한계도 있을 것이다. 경북도는 부총리급 이상이 `인구가족부`(가칭) 지방 신설 등을 건의할 것이라고 한다. 이철우 지사의 말처럼 저출생 문제는 이제 국가 명운이 걸린문제다.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하는데 경북도가 앞장서겠다고 했다. 고심 끝에 내놓은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프로젝트가 빠른 시일내에 정착되기를 기대하면서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전쟁’을 적극 지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