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김경철기자]신라천년고도인 경주의 소멸위험도시 도래가 현실화 돼 가고 있는 시점에서 뜻있는 시민과 단체들이 경주살리기 방안을 마련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지난 13일 경주시 서라벌문화회관에서는 각 단체 대표 등 600여 명의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경주의정포럼(회장 손호익)이 주최한 ‘소멸도시 경주살리기’ 세미나가 열렸다. <사진>이날 손호익 포럼 회장은 당면한 경주의 위기탈출을 위한 대안으로 “경주가 처한 소멸위기를 해결키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저출생과 인구감소를 막지 못하고 있다. 시민들이 경주살리기를 위해 직접 나서야 한다. 오늘 뜻깊은 포럼을 통해 경주살리는 방안을 찾아주기 바란다”고 개회인사를 했다.제1주제를 발표한 김중헌 배제대 교수는 “경주를 살리기 위해서는 경주시의 중심가에 있는 경주역사 부지에 파리의 에펠탑 같은 관광명물을 세워 천년고도의 역사 문화 관광의 세계적 명소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제2주제를 발표한 손영하 창신대 교수는 “소멸위험에 처한 경주를 살리는 길은 산속에 있는 한수원을 경주대의 자리로 이전시키는 것이다. 동시에 당초 정부가 약속했던 여러 원자력 관련 기업이 따라 온다면 경주는 에너지 스마트 시티, 부자 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다. 이를 관철하기 위해선 시민들이 주권행사를 분명히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이모 씨는 “오늘 논의된 죽어가는 경주살리기 방안에 대해 말로만 하지 말고 구체적인 실천을 위해 `한수원 경주대 이전 추진위원회`를 당장 결성하고 범시민 서명운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하자”고 주장했다.세미나를 주최한 경주의정포럼 회원들과 일부 시민들은 세미나를 마친 후 한수원 경주대 이전 서명운동을 주장하면서 김일윤 경주대 총장을 찾아가 한수원 이전을 위해 경주대를 내 놓으라는 요청하고 확인 서명을 강요하면서 한수원 경주대 이전과 여러 원자력 관련 기업의 경주 유치, 경주 원자력 에너지 메카, 경주역사 세계적 명소 건립을 위해서는 5선 경력의 김일윤 총장이 국회로 가야한다고 압박을 하기도 했다.경주는 2018년 8월에 한국고용연구원으로부터 소멸위험도시로 선고를 받았다. 소멸위험도시는 저출생 고령화로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수가 가임여성(20~39세) 수보다 2배가 많으면 소멸위험지수 0.5로 보고 그 도시는 소멸위험에 처했다고 연구원은 판정했다. 경주는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1980년대는 인구 30만명이었다. 10년 전 2010년대에는 26만명이었으며 지금은 24만명이다. 출생자와 사망자를 상계해 최근까지 매년 2천여 명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소멸위험도시의 먹구름이 지역의 산업체를 약화시키고 관광객 수를 감소시킨다. 유치원과 초중고, 대학의 학생 수가 줄어 폐교위기에 내몰린 현실이다.국회는 지역균형발전특별법을 제정하고 정부는 시행령을 통과시켜 지방을 지원하고 있다. 경주시는 지역살리기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저출생과 고령화로 가는 인구 감소 상황을 막기엔 역부족인 것도 현실이다.지역의 원로인 최모 씨는 “천년의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는 고도 경주의 도시 기능이 무너진다면 경주의 미래는 없다. 저출생과 인구감소 해결을 위해 아이를 낳아 기르는데 불편함이 없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일자리를 만들어 주고 수많은 관광객이 몰려올 수 있도록 촘촘한 복지정책 실시, 기업 유치, 관광명소 확충 등 현실적인 다양한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