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해 의사들이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일부 의사들이 정부를 규탄하는 과격한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노환규 전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소셜미디어에 "정부는 의사들을 이길 수 없다"며 2000년 의약분업 당시 혼란이 재현될 수 있다고 엄포를 놨다. 그는 또 `정부가 전공의들의 총파업에 대비하고 있다`는 기사를 공유하면서 "겁을 주면 의사들은 지릴 것으로 생각했나 보다"고도 했다. 주수호 전 의협 회장도 "의사 알기를 정부 노예로 아는 정부"라며 반발했다. 전직 의협 회장들이 일제히 정부를 우롱하고 나섰다. 의사들의 이런 오만함은 국민을 무시한 행동이다. 국민 89%가 의대 증원을 찬성하는 마당에 이런 뚱딴지 같은 발언을 쏟아낼 수 있나.
의협이 총파업으로 협박하면 정부가 두 손 두 발 들고 물러설 것으로 생각하는 모양인데, 이번 만큼은 정부가 국민편에 서서 강하게 나가야 한다. 정부는 의사들의 총파업에 휘둘리지 말고 의료 개혁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 의사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의료 현장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대한의사협회가 15일 전국 곳곳에서 궐기대회를 열 예정인 가운데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 12일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집단행동 여부를 포함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들도 비상대책위를 꾸리고 집단행동에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의료계는 폭풍전야다. 이런 의사들의 단체행동에 국민들은 분노할 수밖에 없다. 의사들이 길거리로 나서면 환자는 누가 돌보고 치료하나. 지난 2020년 문재인 정부는 의대생 숫자를 매년 400명씩, 10년간 총 4000명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지만 전공의 80%의 진료 거부로 결국 백기를 들었다. 4년 전 사태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가 절대 물러서선 안된다. 정부는 강경 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의료계가 파업에 들어가면 즉각 업무복귀 명령을 내리고, 따르지 않으면 `면허취소`라는 초강수도 두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지난 12일 "의사들의 단체행동은 명분이 없다"며 자제를 촉구했는데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 필수·지역 의료 붕괴는 심각한 수준이다. 의대 증원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의사들은 애꿎은 국민을 볼모로 한 의료 총파업 방침을 당장 철회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