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윤미향 의원이 국회에서 주최한 토론회에서 ‘북한의 통일전쟁을 수용해야 한다’는 어처구니 없는 발언을 했다. 윤 의원은 지난 24일 의원회관에서 ‘남북관계 근본 변화와 한반도 위기 이해-평화 해법 모색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토론회를 주최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김광수 부산평화통일센터 하나 이사장은 “통일전쟁이 일어나 평화가 만들어진다면 그 전쟁관도 수용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이사장은 “북한의 전쟁관은 정의의 전쟁관”이라고도 했다. 그는 대법원이 이적단체로 규정한 한국대학생총연합회의 정책위원장 출신으로 사상이 의심스럽다. 이적단체의 간부를 지낸 인물이 윤 의원이 주최한 공개토론회에서 북한의 통일전쟁을 지지하는 발언을 한 것이다. 이 토론회는 유튜브로 생중계 됐다. 이게 대한민국 국회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인가. 참으로 아이러니하고 한심한 현실이다.
윤 의원이 통일전쟁을 지지하는 직접적인 발언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난하면서 토론회에 적극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 그의 국가관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윤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반북, 멸북 정책이 걸림돌”이라며 “그것을 통해 이득을 취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군사동맹 체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열어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윤 의원은 지난해 9월 일본에서 친북단체인 조총련이 주최한 관동대지진 100주년 행사에 참석해 물의를 빚은 적이 있다. 조총련 간부가 대한민국 정부를 ‘남조선 괴뢰도당’으로 지칭하는 추도사를 낭독한 그 행사에 윤 의원은 ‘남측 대표단 자격’으로 참석했었다. 이러고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라고 할 수 있나. 이런 국회의원에게 월급주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윤 의원은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시절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후원금을 유용한 혐의로 항소심에서 징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대법원에서 형이 확정되면 국회의원 자격을 상실하게 된다. 윤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로 21대 국회에 진출했다. 부동산 비위 의혹으로 민주당에서 출당 조치를 받기도 했다. 이런 인물을 국회의원이라고 할 수 있나. 국민들이 과연 납득할 수 있을까. 이런 국가관을 가진 인물이 국회의원이라고 국회를 활보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