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하는 단순노무 외국인 근로자(E9비자)를 16만5000명으로 대폭 확대했다. 하지만 입국 관리에 종사하는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실제로는 10만 명 입국도 사실상 어려워 보인다. 외국인 근로자가 주로 취업하는 중소기업 업계 실태조사에선 올해 최소 20만 명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나 당국과 업계의 손발이 안맞다. 이로인해 중소기업은 올해도 극심한 인력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런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입국 관리 인력 부족이다. 2022년 7만 명에 못 미치던 입국 외국인 근로자 쿼터가 지난해 12만 명으로 갑자기 크게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실제 입국한 근로자는 10만 명선에 그쳤다. 정부가 밝힌 16만5000명 가운데 6만5000명은 입국하고 싶어도 들어올 수 없다. 상황이 이렇자 주무 부처인 고용노동부는 행정안전부에 올해 입국관리 인력 증원을 요청했으나 한마디로 거절당했다. 남아있는 인력을 재배치해서 대응하라는 것이다. 지난해 지연된 2만 명의 입국 처리는 해를 넘겨 올해 2월까지 진행된다. 결국 2024년 신규 1회차 신청 시작도 이달 29일로 지난해보다 3개월 가까이 늦어졌고, 올해 할당 목표 중 제때 입국할 수 있는 규모는 고작 7만5000명선에 그칠 전망이다. 이민 정책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법무부 장관 시절 `5개년 외국인 정책 기본계획`을 국회에서 직접 발표하면서 ‘한동훈표 1호 정책’으로 평가된다. 기본계획은 불법 체류자를 반으로 줄이고, 동시에 외국인 근로자 적극 유치를 내세우고 있다. 특히 ‘취업비자 총량 사전 공표제’를 실시해 외국인 취업 분야를 확대하고, 국내 인력 부족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국힘이 이렇게 공들여 준비한 기본계획이 시행 첫발부터 차질을 빚게 된 것이다. 신청했던 외국인 근로자 입국이 길게는 4개월가량 지연되면서 해당 업체들의 피해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가 들어오기만을 학수고대하는 농어촌에는 요즘 아우성이다. 노령층 밖에 없는 농어촌에는 외국인 근로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들이 없으면 개점휴업 상태다. 어디 농어촌 뿐이겠나. 중소기업들은 더 속이 탄다. 애타는 기업들의 문의 전화가 빗발치자, 관련 기관들은 아예 전화를 받지 않는 일까지 속출하고 있다고 한다. 고용노동부는 올 상반기 내 관련 인원 충원을 행안부에 다시 요청하겠다는 계획이다. 부처 간 손발이 맞지 않으면 늘 애꿎은 기업과 국민들만 피해를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