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고리원전 항만구조물 보강공사’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내면서 과도한 실적 제한 갑질로 지역건설업체들의 입찰참여가 원천봉쇄 당하는 등 논란을 빚고 있다.
특히 한수원이 공고한 입찰내용을 보면 종합심사세부기준 통과가 가능한 업체는 국내에선 6개사에 불과하고 이 가운데 정정공고를 통해 통과 가능한 업체는 단 2곳뿐이다. 1차 공고와 정정공고 모두 과도한 실적제한을 내세워 대기업은 물론 지역 건설사들까지 아예 원천봉쇄 당하고 있다. 심지어 울진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공사를 수주한 현대건설도 종합심사세부기준을 통과하지 못해 한수원이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입찰이 아니냐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한수원과 지역 건설사 등에 따르면 한수원은 최근 ‘고리원전 항만구조물 보강공사’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공고를 내고 지난 15일 입찰을 마감했다. 한수원은 이번 입찰의 참가 자격을 ‘최근 10년 간 단일계약건의 항만 또는 어항 외곽시설 준공금액(도급자설치 관급금액 포함) 760억원 이상의 시공실적을 보유한 업체’로 제한했다.이는 한수원 내부 규정에 따른 것으로 이번 입찰의 추정금액(762억원) 1배수에 해당하고, 이를 충족하는 건설사는 국내에선 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HDC현대산업개발, 동부건설, 극동건설 등 6곳에 불과하다.한수원 측은 당초 공고에서 충족하는 업체가 없자 지난 10일 2차 정정공고를 통해 대우건설과 동부건설 2곳을 입찰참여자로 선정했다. 하지만 지난 22일 입찰 결과 동부건설이 빠지는 바람에 대우건설 1곳만 참여해 결국 유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한수원 측의 과도하고 까다로운 입찰실적 제한으로 중대형 건설사는 물론 지역 건설사들은 아예 입찰에 참여조차 어렵다며 하소연하고 있다.대한건설협회 부산광역시회 관계자는 “국내 기업 가운데 해당 세부기준 실적을 보유한 업체는 극소수에 불과해 지역건설업체의 단독 참여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실적을 보유한 업체와 공동수급체를 구성하는 것 또한 어렵다. 한수원 측이 특정기업을 밀어주기 위한 공고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이에 한수원 장병준 홍보실 차장은 “2차 정정공고도 유찰돼 23일부터 29일까지 3차 추가 정정공고 내 입찰업체를 모집하고 있다”면서 “3차 추가 정정공고 종합심사낙찰제 세부심사기준도 수정 없이 그대로 낼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역 건설업체들은 한수원 측이 실적세부기준 완화 없이 3차 추가 정정공고를 낸다하더라도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는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편 한수원 측은 2차 정정공고 참여자 2개사(대우건설, 동부건설) 가운데 대우건설 1곳만 참여해 유찰되는 바람에 지난 23일 3차 정정공고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