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이동구기자] “이제 정부를 어떻게 믿나, 정권이 바뀌면 원전정책도 또 바뀔텐데...” 산업통상자원부가 다음달 초 발표할 예정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에 신규 원전 4기 가운데 2기가 영덕군의 예전 천지원전 자리에 건설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지역주민들은 산업부나 한수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신규원전 2기를 이곳(천지원전 부지)에 지을려고 하는 것은 `그들만의 생각일 뿐` 지역 정서는 전혀 다르다고 주장했다. 이런 불신을 조장하게 한 장본인도 한수원이다. 한수원은 새 원전 부지로 확보한 천지원전 부지를 최근 매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이곳 주민 유경종(51.경정3리)씨는 “이제 정부와의 신뢰는 깨졌다. 다시 이곳에 원전을 건설한다면 두손들고 반대할 것”이라며 “그동안 속상했던 일을 생각하면 화가 치밀어 미치겠다”고 토로했다. 이번 산업부 계획에서 핵심 쟁점이던 신규 건설 원전이 4기로 정해지면, 2기는 기존 확보한 부지(영덕 천지원전)를 활용한다는 게 윤석열 정부의 원전 복안이다. 사업을 실행하는 한수원도 강원도 삼척시와 영덕군에 검증된 부지가 있고, 이 가운에서도 주민수용성이 높은 영덕 천지원전 부지를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영덕군과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만만찮아 이마저도 쉽지 않다. 영덕군은 현재 기존 원전 건설 백지화에 따라 정부에서 회수해 간 원전특별지원금 문제로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진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이곳에 원전을 재추진한다는 것은 앞뒤가 안맞다. 앞서 정부는 영덕에 신규 원전을 건설하는 대가로 2014~2015년 409억원(이자 29억원 포함)을 줬지만,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선언과 함께 돈을 모두 회수해 갔다. 이에 영덕군은 국책사업에 대한 신뢰, 지역 내 소모전과 희생 등 여러 사안이 고려되지 않았다며 정부와 현재 법정투쟁을 벌이고 있다.또 다른 문제는 산업부가 진행한 영덕 천지원전 예정 구역 지정 철회다. 천지 원전 예정구역은 영덕읍 석리·노물리·매정리와 축산면 경정리 일대 324만7112㎡로, 2012년 당시 지식경제부가 원전 예정구역으로 지정했다가 지난 2021년 3월 29일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를 열어 영덕 천지원전 예정구역 지정을 공식 철회했다. 다시 추진할 경우 원전건설에 필요한 토지수용을 처음부터 다시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재산피해를 입은 지역민들의 반발이 만만찮을 것으로 예상된다.영덕군은 설사 원전특별지원금과 토지문제 등이 다 해결돼 재추진 여건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또 정권이 바뀌면 백지화될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김광열 영덕군수는 "신규 원전(천지원전) 건설 계획 백지화로 지역에 큰 피해를 입힌 정부를 이제 믿을 수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영덕에 원전건설을 다시 추진한다는건 주민들을 무시하고 우롱하는 처사"라고 격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