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상공회의소와 포항시가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 구명을 위해 포항시민들에게 서명을 받고 있는데, 포항시의회 모 의원이 찬물을 끼얹는 발언을 해 의회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포항시의회가 적극 나서 협조하지는 못할망정 서명운동에 제동을 걸고 나서는 행위는 이해할 수 없는 처사다. 에코프로 이동채 전 회장의 구명 범시민 서명운동은 포항상의 주도로 지난해 12월부터 진행되고 있고 최근 포항시도 이에 가세해 범시민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에코프로는 포항에서 포스코 다음으로 큰 기업이다. 그 기업의 총수 공백으로 인한 피해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포항시 차원에서도 답답한 노릇이다. 그룹 총수가 결정을 내려하는 중요한 투자나 공장건립 등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서 지연되고 있다.
이 같은 사정을 아는지, 지난 19일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김성조 포항시의회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이동채 전 회장의 기업 경영 노하우가 대한민국 산업계는 물론 지역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면 청원에 시민들이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포항시민 모두가 공감하는 발언이다. 그런데 같은 날 김은주 포항시의회 의원은 이동채 전 회장의 구명운동을 위해 행정복지센터에서 서명을 받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포항시 차원의 사과를 촉구했다. 물론 시민을 대표하는 시의원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시민들이 공감하는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포항시가 나서 하는 일을 행정복지센터에서 하지 않으면 그럼 길거리에서 해야 하나. 포항경제를 살리기 위해 포항시가 이 전 회장의 구명운동에 협조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도, 이를 두고 오히려 사과를 요구하는 것은 무리한 주장이다. 에코프로는 지난해 포항시에 이차전지 관련 2조5000억원 투자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더많은 투자를 할 기업이다. 이 기업의 총수인 이동채 전 회장의 갑작스런 구속으로 투자규모가 축소될 우려가 나오면서, 지역 상공인은 물론 대다수 시민들이 한 목소리로 구명운동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움직임에 포항시가 서명운동에 동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것도 의견 수렴을 위해 포항시가 한 것은 행정복지센터에 서명지를 비치한 것 뿐인데도 이를 트집잡는 행위는 지나친 시정견제라는 지적이다. 시는 시민들의 의견 수렴에 도움을 주기 위해 행정복지센터에 서명지를 비치한 것 뿐이다. 범시민 서명운동에 도움을 주지못할망정 트집잡는 행위는 시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할 것이다. 포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포항시의회도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