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총선까지 불과 79일 남은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대형 악재를 맞았다.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명 한 달도 채 안 된 상황에서 대통령실과 여권 주류로부터 사퇴 요청을 받았고 이를 거부하면서 당과 대통령실이 정면으로 충돌했다. 게다가 논란의 발단으로 꼽히는 이른바 `김 여사 리스크`에 대한 입장을 두고 수도권과 친윤(친윤석열)계 인사들의 대립이 점차 심화되면서 당 안팎으로 갈등과 혼란이 확산되는 모양새다.22일 오전 한 비대위원장은 국회 출근길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를 거절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대통령실이 과도한 당무개입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데 대해선 "평가는 제가 하지 않겠다. 그 과정에 대해서는 제가 사퇴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선 말씀드리지 않겠다"고 말했다.이번 충돌로 당정 사이 신뢰가 깨진 것 아니냐는 지적에 "여러 시각이 있겠지만 당은 당의 일을 하는 것이고 정은 정의 일을 하는 것이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는 일"이라고 답했다.한 위원장이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를 정면으로 거부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권은 전날부터 한 위원장 거취 문제를 놓고 혼란에 빠졌다. 한 비대위원장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이 지지를 철회했다는 보도가 나왔고 이를 바탕으로 친윤 주류의 사퇴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과 여당 주류가 한 비대위원장이 자신이 임명한 김경율 비상대책위원을 서울 마포을에 내보내겠다는 취지의 움직임을 보인 것을 두고 자기 정치용 `사천`이 우려된다며 사퇴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충돌의 표면상 이유는 공천 문제로 알려졌다.하지만 정치권에선 충돌의 직접적 원인이 공천 문제가 아니라 김 여사 리스크에 대한 온도차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당내에선 한 비대위원장이 임명한 김 비대위원이 처음 김 여사 명품 가방 논란에 대한 입장 표명 또는 사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당내 기류가 변했다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