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최종태기자]포항상공회의소 주도하에 지난해 12월부터 전개해 오고 있는 에코프로 이동채 전 회장의 구명 범시민 서명운동에 대해 지난 19일 열린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갑론을박을 벌여 구명운동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이날 김성조 포항시의회 의원은 임시회에서 5분 발언을 통해 이동채 전 회장의 기업 경영 노하우가 대한민국 산업계는 물론 지역경제 발전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면 청원에 시민들이 적극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하지만 같은 날 김은주 포항시의회 의원은 이동채 전 회장의 구명운동을 위해 행정복지센터에서 서명을 받은 것 등을 문제 삼으며 포항시 차원의 사과를 촉구했다.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하며 일자리 창출등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에코프로그룹 전 총수의 구명운동에 시민을 대표하는 시의원이 앞장서서 적극 나서도 모자랄판에 오히려 문제삼는 행위는 어불성설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포항시가 이 전 회장의 구명운동에 협조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도, 이를 두고 오히려 사과를 하라는 것은 도를 넘는 행위라는 지적이다.에코프로는 지난해 포항시에 이차전지 관련 2조5천억원 투자를 시작으로 향후 더많은 투자가 기대되는 기업이다. 이 기업의 총수인 이동채 전 회장의 갑작스런 구속으로 투자규모가 축소될 우려가 나오면서, 지역 상공인은 물론 대다수 시민들이 한 목소리로 구명운동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이같은 움직임에 포항시가 서명운동에 동참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것도 의견 수렴을 위해 포항시가 한 것은 행정복지센터에 서명지를 비치한 것 뿐인데도 이를 트집잡는 행위는 지나친 시정견제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포항시는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의 사면을 위한 구명운동과 관련해 포항상공회의소의 요청에 따라 서명운동에 협조한 것일 뿐 주도적으로 서명을 강제한 적은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또한 구명운동은 어디까지나 경제단체 중심으로 추진된 것으로 포항시의 행정 중립성과는 어떠한 관련도 없으며, 시는 시민들의 의견 수렴에 도움을 주기 위해 행정복지센터에 서명지를 비치한 것 뿐이라고 설명했다. 지역의 한 법률 전문가는 “포항시가 직접적으로 서명을 강제한 것이 아닌 지역 경제단체의 요청으로 단순히 서명지를 비치한 것은 행정의 중립성 등에 크게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지역 상공인들은 “지역 발전에서 누구보다 발로 뛰어야 할 포항시의원이 서명운동 등에 힘을 실어주지는 못할망정 오히려 문제삼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포항 상공회의소가 추진하고 있는 이동채 전 회장의 구명운동에 포항시가 단순히 협조해 준 것으로 중립성 훼손과 공식적인 사과를 운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며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금은 갈등을 없애고 함께 힘을 모아갈 때이다”라고 개탄했다. 한편 이동채 에코프로 전 회장의 구명운동은 사업장이 위치한 충북 청주시, 전북 군산시, 경북 포항시에서 지역 경제계를 중심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포항시는 포항상공회의소 주도로 범시민 서명운동을 펼쳐 현재 15만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