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음료수`를 파는 롯데칠성음료가 제품 출고가 인상을 위장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일부 품목을 인상한다고 발표했다가 물가 당국의 압력에 눌려 전격 철회하는 `시늉`을 하면서 실제로는 20여가지 품목의 출고가를 버젓이 올리고도 시치미를 떼고 있어 소비자들의 비난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칠성의 `전언통신문`에 따르면 롯데칠성은 지난달 15일을 전후해 전국 2개 지역부문장과 10개 지사(점)장 앞으로 칠성사이다, 펩시콜라 등 탄산음료와 주스, 커피, 스포츠음료 등 30종에 가까운 제품의 출고가를 같은 달 18일부터 인상한다는 내용의 `가격조정`을 통보했다.
통신문은 칠성사이다와 게토레이는 각 9%, 칠성사이다는 7%, 커피인 레쓰비는 5%가량 올리는 등 이온음료인 G2 한 품목만 4.5% 내렸을 뿐 나머지는 모두 출고가를 올렸다.
망고는 5.2%, 복분자는 6.6% 올리는 등 주스가맹점(대리점)이 판매하는 제품도 모두 인상됐다.
통신문이 각 영업 조직에 전파되면서 언론에서는 16일쯤 `칠성사이다 값이 오른다`는 소식이 흘러나왔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롯데칠성은 출고가 인상 1주일 만인 같은 달 25일 "인상했던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게토레이, 레쓰비, 칸타타 등 5개 제품의 가격을 28일부터 다시 원래대로 내린다"고 언론에 보도자료를 냈다.
롯데칠성은 전국의 할인점 등 외부에 공개되는 도매점에 `도매점 가격조정 안내문`이라는 공문으로 이들 5개 제품의 인상만 통보하고, 내부의 `전언통신문`에는 대부분 제품의 출고가를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
외부로 쉽게 알려지는 도매점의 5개 제품 출고가 인상은 철회하면서 나머지 제품의 인상은 숨기는 `이중 플레이`를 한 셈이다.
그러면서 롯데칠성은 5개 제품의 가격 환원 이유로 "가격 인상후 국민들이 음료 소비에 어려움을 느껴 이를 해소하고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해 고통을 분담하기 위한 것"이라는 명목을 내세웠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