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지난 7일 정영환 고려대 교수를 오는 4월 총선 공천관리위원장 자리에 앉혔다. 특히 TK는 `공천=당선`이라는 공식이 성립되면서 공천만 따내면 국회의원 뺏지를 달 수 있다. 따라서 TK에서의 공관위원장 파워는 그야말로 무소불이다. 이 때문에 TK에서는 정 공관위원장만 쳐다보는 해바라기성 후보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정 공관위원장의 역할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비정치 법조인` 공관위원장 등장에 TK 정치권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정치권과 인연이 없어 눈치 보지 않고 물갈이할 것이란 얘기가 들린다. 기존 의원들을 `기득권`으로 표현하는 한동훈 위원장의 행보도 겁이난다. 이를 TK에선 역대급 물갈이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TK에선 현역 교체율이 70~80%설, 때로는 90%설까지 나도는 건 지나친 오해일까. 초선이든 재선이든 할 것 없이 현역의원은 무조건 교체해야 한다는 논리다. 이건 인적쇄신이 아니라 거의 학살 수준이다. 물론 새 인물도 필요하겠지만 그동안 지역을 지탱해온 대들보도 필요한 것이다. 재선을 넘어 3~4선이 돼야 지역을 위해 일 할 수 있다는 정치논리는 괜히 나온 말이 아니다. 정치인이나 나무나 똑같은 이치다. 특히 TK엔 참신한 새 인물도 많지만 대들보로 쓸 재목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옥석을 가려야 하는 공천이 자칫 초가삼간 태우는 우를 범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그런점에서 TK에서의 공천은 더욱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현 여야에 대한 비호감으로 무당층이 이번 총선의 돌풍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래서 `혁신 공천`은 총선의 마지막 승부처다. 링 위에서 싸울 선수를 뽑는 만큼 결정적 요소가 없다. 그래서 `혁신 공천`에는 기대와 공포감이 함께 담겨있다. 적절한 인적 쇄신은 국민적 요구다. 증오의 정치, 극단의 갈등을 최소화하려면 이를 부추기는 정치인부터 퇴출하는 게 순서다. 참신하고 유능한 새 인물들이 새 언어와 새로운 태도로 국정을 논하는 정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 반면 `혁신 공천`엔 일반국민이 모르는 함정이 숨어있다. 말로만 `혁신 공천`이지, 실제로는 `비주류 공천 학살` ‘밀실공천’ `내 사람 심기` 등의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TK에서만큼은 최소한 이런 주류의 공천이 사라지길 기대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