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최대주주인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이 지난주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놓고 한마디 쓴소리를 했다. 그는 “소유분산 기업인 포스코홀딩스 대표 선임은 KT 사례 때 밝힌 바와 같이 주주이익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내·외부인 차별 없는 공평한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고 했다. 포스코홀딩스가 최근 새로운 지배구조 개선안을 마련해 최정우 현 회장이 자동으로 연임에 나설 수 있게 ‘CEO 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한 것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 이사장이 언급한 ‘KT 사례’는 지난 2022년 연말 국민연금이 KT 대표 선임 당시, 구현모 전 대표와 윤경림 전 사장에 대해 사실상 차례로 비토를 놓으면서 KT의 대표 선임 절차가 원점에서 시작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한 사례다. 그때와 지금의 포스코그룹 회장 선임 절차는 달라도 너무 많이 다르다. 재계에선 포스코홀딩스 최대주주(6.71% 보유)인 국민연금이 사실상 최정우 회장의 3연임에 제동을 건 것이 아니냐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최 회장은 현재 자신의 거취에 대해 어떠한 메시지도 내놓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최 회장의 이런 행보를 3연임 도전으로 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역대 회장 가운데 최고의 경영성과를 올린데다 대부분의 주주들도 최 회장의 3연임에 싫지 않은 내색을 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이사회는 지난해 연말 ‘외부의 입김을 막겠다’는 취지로 회장 선임 절차를 개편했다. 별도 공모절차 없이 누구나 회장 후보군에 참여해 공정한 경쟁을 벌이도록 했다. 문제는 국민연금이 제동을 걸면서 차기회장 선출일정에 다소 차질이 예상되는 점이다. 자칫 선출절차가 다시 원점에서 시작되지 않겠느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포스코그룹은 차기 회장 후보자 가운데 최종 1명을 내년 2월 중순까지 선정해 3월 주주총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선임하게 된다.차기회장 최종 후보를 선정하게 될 포스코홀딩스 사외이사는 총 7명인데, 이중 6명이 최 회장 임기 중에 임명됐다. 보기에 따라서는 최 회장이 유리할 수도 있겠지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놨다는 점에서 공정성 시비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홀딩스 CEO 후보추천위원장을 맡은 박희재 서울대 교수는 “후추위는 이미 정한 기준에 따라 독립적으로 차기 회장 심사절차를 진행해 나가겠다. 만약 현 회장이 3연임을 위해 지원한다면 그건 개인의 자유”라고 밝힌 바 있다. 국민연금의 공정성 문제제기를 정면으로 반박한 말이다. 아무리 대주주라고해도 포스코그룹 차기회장 선임 과정을 ‘KT사례’로 치부한 것은 맞지 않는 말이다. 나머지 소주주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