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민영일기자]내년 4월 총선의 최대 승부처는 수도권이다. 253석의 수도권 싸움에서 여야의 승패가 갈릴 전망이다.  수도권에는 전체 지역구 253석 중 절반에 가까운 121석(서울 49석, 경기 59석, 인천 13석)이 걸려 있다.민주당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4년 전 서울 41석을 비롯해 수도권에서만 103석을 휩쓸었고, 전체적으로 180석을 얻어 압승했다. 반면 국민의힘 전신인 미래통합당이 수도권에서 건진 의석은 16석에 불과했고, 총 의석 103석에 그치는 참패를 기록했다.전국 단위 선거의 승패를 결정짓는 수도권 방정식은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된 지난 대선에서도 적용됐다.윤 대통령은 당시 서울 25개 구(區) 가운데 14곳에서 이겼다. 윤 대통령은 서울에서 전체적으로 50.56%를 득표해 더불어민주당 후보였던 이재명 대표(45.73%)를 눌렀다.경기와 인천에선 윤 대통령 득표율이 이 대표에게 뒤졌지만, 21대 총선 당시 민주당에 몰아줬던 표심의 상당 부분을 가져오며 격차를 좁히는 데 성공했다.여야는 이번 총선에서도 사활을 건 수도권 총력전을 준비하고 있다.국민의힘은 확실한 `과반 정당`을 목표로 수도권에 당력을 쏟아부을 방침이다. 국민의힘은 현재 17석에 불과한 수도권에서 60석 이상을 확보하고, 서울을 관통하는 `한강 벨트` 지역을 당 상징인 붉은색으로 물들이겠다는 구상이다.26일 출범한 한동훈 비대위가 민심에 미칠 효과도 주목된다.민주당도 수도권 수성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민주당은 수도권의 경제활동 인구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민생 문제 해결책을 제시하고 `산토끼`를 잡겠다는 구상이다.이재명 대표가 최근 들어 수도권 민생현장을 방문하고 공개회의 모두발언에서 주요 경제 현안을 언급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여야는 수도권의 `스윙 지역구`도 주목하고 있다. 지난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이겼으나 대선에선 윤 대통령 득표율이 이 대표보다 높았던 곳이다. 스윙 지역구의 경우 중도층과 부동층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관건이다.아직 마음을 정하지 못한 부동층의 선택에는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을 앞세운 국민의힘과 이재명 대표를 사령탑으로 하는 민주당의 쇄신 경쟁이 표심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국민의힘 관계자는 "한동훈 비대위가 들어서면서 `이준석 신당`의 파급력이 많이 빠졌다"며 "내년 총선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지 못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호남 출신인 이낙연 전 대표가 신당을 창당할지, 여당의 `서진`(西進)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에 따라 민주당의 성적표도 달라질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