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박동수기자]농업협동조합중앙회가 골목상권을 침해하는 자회사 운영으로 ‘협동’이라는 당초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현재 하나로마트, 주유소 등을 운영하고 있는 안동 와룡농협이 이제는 재가노인복지시설 설립까지 추진해 지역사회에 분란을 일으키고 있다. ”농협이 골목상권 다 죽인다“는 말은 오래전부터 지역사회에서 자주 들리던 말이다.재가 노인복지시설이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거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제공하는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 급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노후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으로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장기요양급여 이용자를 조합원이라는 이름으로 노인복지에 무지한 상태에서 알선 유인해 서비스의 질 저하 및 기관선택의 기회를 줄이고 수급질서를 어지럽히고 있다. 또한 민간 재가시설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지역사회와 큰 마찰을 야기하며 요양보호사의 강제근로중단으로 안정적인 근로환경을 방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농협중앙회의 `재가노인복지시설(방문요양) 운영 확대 추진계획안`에 의하면 재가장기요양기관을 2023년 말까지 농축협을 중심으로 방문요양 50곳, 주간보호 10곳, 요양원 3곳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며 지난해 수요 조사 결과, 지역농협 26곳이 참여의사를 밝혔다. 특히 농협은 지난해 실시한 자체조사를 바탕으로 보호가 필요한 어르신 숫자 대비 복지시설이 부족한 전국 16개 시,군을 대상으로 사업을 중점 추진한다. 안동지역에는 85개의 재가기관이 있어 농촌, 도서지역 등 노인복지시설 취약지역 중심의 사업 추진 한다는 농협협동조합의 취지와도 맞지 않는다.특히 안동 지역 특성상 실제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 중인 기관수가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농협의 사익을 위해 경제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의 재가기관과 마찰을 일으키며 무리하게 추진하고 있다.이에따라 안동시 재가장기요양기관협회는 안동와룡 농협 하나로마트, 주유소 등 이용거부, 와룡농협 이용하고 있는 재가기관 모두 타 금융기관으로 교체, 농협 사업체 등과 연대(주유소, 비료, 농약, 김치, 장례식장, 마트) 등 와룡농협이 재가노인복지시설 철회할 때까지 반대운동을 이어갈 예정이다.한편 와룡농협 측은 재가노인복지시설은 조합장이 하는게 아니라 조합원의 의결에서 전원 찬성으로 안동시와 협의 하에 하는 것인만큼 철회 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