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조준영기자]국내에 취업한 외국인 수가 92만3천명을 넘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00만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절반 이상은 30대 이하였고, 임금 근로자 가운데 절반가량은 월급이 200만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과 법무부는 18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올해 5월 기준 국내 상주 외국인(15세 이상)은 143만명으로 전년보다 12만9천명(9.9%) 증가했다. 이 가운데 취업자는 8만명(9.5%) 늘어난 92만3천명이었다.외국인 수와 외국인 취업자 수 모두 201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였다. 증가 폭도 가장 컸다.경제활동참가율이 낮은 유학생이 늘면서 고용률은 64.5%로 전년보다 0.3%포인트 떨어졌다.연령대별로 30대가 전년보다 3만명 늘어난 30만8천명으로 전체의 33.3%를 차지했다. 15∼29세도 4만1천명 증가한 21만4천명으로 23.2%였다. 30대 이하가 취업자의 56.5%를 차지하는 셈이다.40대와 50대의 비중은 각각 18.5%, 15.7%로 뒤를 이었다.국적별로 취업자는 한국계 중국인이 35.3%로 가장 많았다.베트남(11.3%), 중국(4.9%) 순으로 뒤를 이었고 기타 아시아 국가도 39.8%를 차지해 전체 아시아 지역이 90% 이상에 달했다. 산업별로는 광·제조업(44.6%), 도소매·숙박·음식(18.4%), 사업·개인·공공서비스(15.5%) 순이었다.외국인 임금 근로자는 87만3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94.5% 수준이다.임금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44만2천명으로 50.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300만원 이상이 31만3천명(35.8%)으로 뒤를 이었다. 100만∼200만원 미만과 100만원 미만은 각각 9.9%, 3.7%를 차지했다.임금근로자 중 이직 희망자는 12.3%로 나타났다. 이직 희망 사유로는 낮은 임금(39.2%)이 가장 많았고 `일이 힘들거나 위험함`을 꼽은 비율도 19.4%였다.국내에 상주하는 최근 5년 이내 귀화허가자는 5만1천명으로 전년보다 1천명(2.5%) 감소했다. 이들 중 취업자는 3만4천명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체류자격이 유학생인 외국인은 18만8천명으로 전년보다 2만5천명(14.1%) 증가했다. 국적별로는 베트남(38.3%), 중국(27.7%) 우즈베키스탄(6.4%)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15∼24세가 12만9천명으로 68.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25∼29세(22.4%), 30세 이상(8.9%) 순으로 뒤를 이었다.한국으로 유학을 온 이유로 `교육 과정이 우수해서`를 꼽은 비율이 30.0%로 가장 많았다.한국에서 전공이 관심 분야와 잘 맞아서(21.9%), 한국 학위가 취직에 도움이 돼서(10.6%) 순으로 뒤를 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