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지난 12일부터 시작됐지만 선거구 획정은 아직 언제 될지 기약이 없다. 인지도가 낮은 정치 신인들에겐 여간 견디기 힘든 고통의 시간이다. 예비후보가 당선되려면 하루라도 빨리 등록해 출마지에서 사전 선거운동을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어느 지역구인지 알 수 없는 `깜깜이 선거`가 되다 보니 후보등록을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를 놓고 망설이게 된다. 혹여라도 등록했다가 나중에 선거구가 바뀌게 되면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특히 경북의 2개 선거구는 아직 획정되지 않아 예비후보들이 속을 태우고 있다.
지난 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시한 획정안을 놓고 여야는 득실 계산에 분주하다. 본인 지역구가 해체나 통합, 분구되는 의원들이 크게 반발해 최종안 도출은 올해안에 힘들어 보인다. 기득 세력 간 밥그릇 싸움인 만큼 막판까지 결정이 늦어지는 구태가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국회는 내년 선거일 1년 전인 지난 4월 10일까지 선거구 획정을 마쳐야 했으나 지키지 못했다. 2020년 총선 때도 선거일을 한 달여 남긴 3월 6일에야 부랴부랴 결정됐다. 예비후보 등록은 현역 의원과 대결할 정치 신인에게 조기 선거운동 기회를 제공해 국회 입성을 도우려는 것이다. 여야의 늑장 결정은 정치신인에게는 ‘기울어진 운동장’이다. 비례대표 의원을 뽑는 선거제 개편 역시 오리무중이다. 지난번 총선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했지만 거대 양당에 속한 `위성정당` 난립 폐해를 가져왔다. 더불어민주당은 위성정당에 미련이 있는지 계속 고심 중이다. 조국 전 장관이나 송영길 전 대표의 신당을 위성정당 삼아 의석수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11일 비례대표 방식을 연내 확정 짓겠다고 했지만 그렇게 시간 끌 일인가. 위성정당 방지 규정을 넣은 연동형제로 가거나 과거처럼 병립형으로 하면 된다. 선거제 결론을 내지 못하니 중·대선거구 도입이나 국회 특권 폐지 같은 논의는 중단된 상태다. 여야가 자기 당에 유리하게 선거 규정을 바꾸는 것은 의석수가 중요한 정치권에서 어쩔 수 없다. 하지만 그것도 정도의 문제다. 선거제 확정이 매번 법정 시한을 넘기는 것은 위법을 넘어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다. 정치신인에게 공정한 기회를 주기 위해서라도 여야는 선거구 획정을 하루라도 빨리 앞당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