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원전예산 전액 삭감에 침통해 하던 원전 도시 울진에 희망적인 소식이 전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부터 울진 신한울 3·4호기 보조기기 제작에 참여하는 업체에 계약금의 최대 30%를 선금으로 미리 지급하는 ‘선금 특례제’를 시행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산업부는 원전 기기 제작에 참여하는 기업의 자금난을 덜어주기 위해 이같은 특례제를 마련했고, 한국수력원자력은 신한울 3·4호기 보조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한 기업체에 총 계약금의 최대 30%를 선금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세부 운영지침까지 마련해 놓았다고 한다. 이는 윤석열 정부의 친원전 정책에 따른 선조치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이번 조치로 내년 상반기까지 울진지역에 약 1조 원 이상의 원전자금이 풀린다고 하니 침체됐던 울진경제가 숨통을 트이게 됐다. 한수원은 그동안 공급사와 보조기기 계약체결 시 대금을 바로 지급하지 않았고, 계약 이후 2~3년이 지나 공급사가 납품을 하고 나면 당해 납품 예정 금액의 70%까지 선금을 지급해 왔다. 이에 따라 울진 신한울 3·4호기 건설에 참여하는 보조기기 제작업체들에겐 그동안 쪼달렸던 자금난에 숨통을 트이게 됐고, 덩달아 울진 원전경제도 다시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민주당이 원전예산 전액을 삭감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드러냈던 울진지역 주민들도 이번 산업부의 선금 특례제 시행을 크게 반기고 있다. 사실 민주당이 원전예산을 전액 삭감하자 원전도시 울진지역 주민들은 큰 상실감에 빠지며 민주당을 원망해왔다. 산업부 측은 탈원전 기간 매출이 급감한 원전 기업들이 보조 기기 일감을 새로 수주해도 단기적 돈 걱정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어려움에 처해 있었다고 했다. 특히 신용·담보 한도가 소진돼 시중은행의 금융지원 혜택을 받기 어려운 중소·중견 기업들에겐 착수금 성격의 선금 특례제는 ‘가뭄에 단비’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원전 생태계를 다시 회복시키려는 정부의 노력에 박수를 보낸다. 무엇보다 큰 상실감에 빠져있던 울진지역 주민들에게 희망을 안겨주는 희소식이 전해져 다행이다. 이번 조치로 원전도시 울진의 경제가 다시 살아났으면 하는 바람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