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우리나라 청년(19∼34세) 인구가 1천만명에서 30년 뒤에는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청년 인구 5명 중 4명은 미혼이었으며, 1명은 1인 가구였다. 청년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에 거주했다.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 세대의 변화`를 27일 발표했다.2020년 기준 청년 세대 인구는 1천21만3천명으로 우리나라 총 인구(5천13만3천명)의 20.4%를 차지했다. 5년 전인 2015년에 비해 인구는 48만3천명, 비중은 4.5%포인트 하락했다.청년 세대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31.9%(1천384만9천명)를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청년 세대 인구는 지속해서 하락해 2050년에는 521만3천명으로 예측된다. 저출생 등으로 약 30년 뒤에 청년 인구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이다.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1.0%로 절반가량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2020년 청년 세대 중 미혼인 사람은 783만7천명이었다. 전체 청년 인구의 81.5%로 5년 전인 75.0%보다 비중이 6.5%포인트 높아졌다.성별로 보면 청년 남자의 86.1%가, 여자의 76.8%가 미혼이었다.연령대별로는 30∼34세에서 56.3%가, 25∼29세에서 87.4%가 미혼이었다. 20년 전인 2000년에 비해 각각 37.6%포인트, 33.2%포인트 높아졌다.가구 유형별로 보면 청년 세대 중 1인 가구는 20.1%(193만5천명)였다. 1인 가구 비중은 2000년 6.6%에서 2010년 12.6% 등으로 지속해 상승세다.청년이 혼자 사는 이유로는 `본인의 직장 때문`이 55.7%로 가장 많았다. `본인의 독립 생활`(23.6%), `본인의 학업 때문`(14.8%) 등이 뒤를 이었다.1인 가구 청년의 거주 형태는 월세(58.2%), 전세(26.6%), 자가(10.5%) 등의 순이었다. 거처 유형은 단독주택(50.8%), 아파트(20.8%), 오피스텔 등 주택 이외의 거처(14.9%) 등의 순으로 많았다.청년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비중은 55.3%(532만1천명)이었다.청년 세대의 53.8%(549만1천명)는 수도권에 거주했다. 청년 세대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2005년 51.7%로 올라선 이후 과반을 유지하고 있다.2020년 출생지를 떠나 다른 권역으로 이동한 청년은 수도권에서 46만2천명, 중부권에서 41만8천명, 호남권에서 42만7천명, 영남권에서 67만5천명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제보하기
[메일] jebo@ksmnews.co.kr
[카카오톡] 경상매일신문 채널 검색, 채널 추가
유튜브에서 경상매일방송 채널을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