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매일신문=정다원기자]지난해 고등학교 3학년 가운데 진로·진학 컨설팅 사교육을 받은 학생은 연평균 100만원 이상을, 논술 사교육을 받은 학생은 약 400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사교육비를 잡기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을 밝혔으나 지원 대학 원서를 작성하고 대입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사교육이 여전한 만큼 관련 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온다.27일 교육부와 통계청의 `2022 초중고 사교육비 통계`를 보면 지난해 고등학교 3학년 학생 가운데 진로·진학 학습 상담(컨설팅)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교육비(이하 참여 학생 기준)는 한 달 평균 9만원으로 집계됐다.1년으로 환산하면 108만원인 셈이다.한 달 평균으로 보면 금액이 적어 보이지만, 대부분 학생은 수시·정시모집 지원을 위해 일회적으로 컨설팅에 의존한다는 점으로 미뤄볼 때 1회당 사교육비가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실제로 진로·진학 컨설팅은 1회에 수십만∼수백만원 수준으로 알려진다.고3의 진로·진학 컨설팅 사교육비는 초·중·고 통틀어 가장 높다. 전체 사교육비가 고1, 고2, 고3 순으로 높은 점과 비교되는 대목이다.논술 사교육비도 전체 학년에서 고3이 가장 많이 쓴다.지난해 고3의 월평균 논술 사교육비는 33만원으로 초·중·고 전체 학년 중에 가장 많았다. 1년으로 환산하면 396만원을 논술 사교육비로 지출하는 셈이다.특히 논술 사교육비는 고1 때 월평균 17만3천원, 2학년 때 20만6천원에 그쳤다가 3학년이 되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시 준비 등을 위해 고3이 논술 사교육에 의존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참여하지 않은 학생까지 포함한 경우 고3의 진로·진학 컨설팅 사교육비는 월평균 6천원(연간 7만2천원)이다.논술의 경우엔 월 1만3천원(연간 15만6천원)에 그친다.일각에서는 고3의 진로·진학 컨설팅, 논술 사교육비가 높은 배경으로 공교육을 제대로 활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