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 공백이 길어지고 있다.
당의 최고 의결ㆍ집행기구로 당대표와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지명직 최고위원 2명,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등 모두 9명으로 구성되는데 3명의 `공석`이 두 달 가까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한동안 비었던 정책위의장 자리에는 최근 나성린 의장대행이 임명됐다.
그러나 당대표가 임명하는 지명직 최고위원들의 인선은 `감감무소식`이다.
당초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대로 임명될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그러나 4월 들어서도 인선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당 핵심 관계자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 지도부가 지명직 최고위원 임명 문제를 고심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일부에서는 5월초 원내대표-정책위의장 경선으로 새 원내지도부가 짜이는 것과 때를 같이해 당 인사쇄신 차원에서 지명직 최고위원이 임명되는 게 적합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최고위가 제기능을 하려면 현재와 같은 상태를 방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원내대표 경선과 별개로 임명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실제 최근에는 외국출장을 떠난 최고위원 3명 등 모두 4명이 동시에 자리를 비워 재보선 기초단체장·기초의원 무공천 여부 등 주요 결정이 뒤로 밀리기도 했다.
지명직 최고위원 두 자리가 어떻게 배분될 지도 관심사다.
보통 당의 취약지인 호남 인사에게 우선권을 주는 관행이 있었다.
지난 대선에서 당의 호남 지지율이 처음 두자릿수를 기록했고, 새 정부의 인사에서도 호남 출신이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번에도 `호남 배려` 원칙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강원도 정부 인사에서 호남 못지않게 소외감을 느낀다"는 지적과 함께 두 자리의 하나가 강원 출신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